공분 부른 의사 발언 뭐길래…"지방 학생은 공부 못 한다는 건가?" 부글

머니투데이 김소연 기자 | 2024.02.22 10:22
/사진=임한별(머니S)

"지역주민도 반에서 20등, 30등 하는 의사를 받길 원치 않는다."

의대 증원 문제를 둘러싸고 의사단체와 정부 간 긴장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양측 입장 차를 좁히기 위해 마련된 TV 토론회에서 이 같은 의사 단체 측 주장이 나와 공분을 사고 있다.

지난 20일 방영된 MBC 100분 토론에서 의사 측 패널로 나온 이동욱 경기도의사회장은 "출생아가 줄어드는 상황이기 때문에 현재 의대 정원이 그대로여도 의사 수는 증가하게 된다며 이 같은 취지의 주장을 펼쳤다.

그는 "의료 차별을 받길 원하는 국민은 없다, 지역 주민도 마찬가지다"라며 "그런데 지역의사제로는 성적이 많이 떨어지는 사람을 뽑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 지역 인재 80%를 뽑아보세요. 지역에 있다는 이유로 의대를 성적이 반에서 20등, 30등 하는 사람을 뽑아서 거기 의무 근무를 시켜봐라"며 "국민들도 양보다 질을 원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사회장은 "국민들의 눈높이를 무시하고 산술적으로 양만 때워서 맛없는 빵을 만들어서 사회주의에서 배급하듯이 하는 걸 국민들도 원하지 않는다"라고 지적했다.

의대 정원을 대폭 늘리면 상대적으로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들이 의사가 되면서 의료서비스 질이 떨어질 것이라는 일각의 우려를 언급한 것이다.


그는 이어지는 토론회에서도 수시로 성적 이야기를 언급하면서 의사들 특유의 '엘리트 의식'을 대놓고 TV 토론회에서도 드러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사회자가 정부와 의료계가 입장 차를 좁히기 위해 어떤 방식의 논의를 해야 하냐고 묻자 또다시 성적 이야기를 꺼냈다.

이 의사회장은 "정부가 자꾸 유럽 사회주의 국가를 예로 들면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를 얘기하는게 반에서 1등 학생한테 30등, 50등 하는 학생 공부방법을 배우자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한국 의료제도가 OECD보다 더 뛰어나다는 비유를 학생 성적에 비유한 것이다.

박민수 복지부 차관은 전날 브리핑에서 "좋은 교육, 좋은 실습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의료인으로서의 사명에 대한 분명한 생각들이 정립돼 좋은 의사가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반에서 20~30등'이라는 표현은 '지방에 있는 학생들은 공부를 못한다'는 감성을 자극하는 것 같다"며 "지역인재전형 비중 확대가 의료의 질을 떨어뜨린다는 얘기는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무섭다" 구하라 사망 전, 비밀계정에 글+버닝썬 핵심 인물에 전화
  4. 4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5. 5 김호중 "돈도 없는 XX놈"…건물주 용역과 몸싸움, 3년전 무슨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