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의관 투입, 12개 군병원 응급실 개방"…의사파업에 초강수

머니투데이 김인한 기자 | 2024.02.19 11:26

[the300](종합) 군의관, 민간 외래환자 진료까지 검토

국방부가 19일 인턴·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이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선 데 대해 군의관 투입과 국군병원 응급실 개방 등으로 응급환자 진료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2021년 12월 경기 성남시 국군수도병원에서 완전방역복을 입은 의료진이 감염병동에서 분주히 작업하는 모습. / 사진=뉴스1

국방부가 최근 인턴·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이 의대정원 확대에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선 데 대해 "우리 군은 민간 의료계의 파업 강행 시 범부처 차원의 대책에 근거해 국군수도병원 등 12개 군병원 응급실을 개방하고 응급환자 진료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19일 정례브리핑에서 "군 장병 의료지원 태세의 제한이 없는 범위 내에서 민간 외래환자 진료 그리고 군의관 파견 방안 등을 앞으로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국방부는 관계부처와 협의해 인력·비상진료체계 등의 지원책을 추가 검토한다. 김선호 국방부 차관은 이날 오후 국군의무사령부와 수도병원을 방문한다. 민간인 대상 비상진료체계 운영 현장을 확인하고 준비 상태와 군 의무지원 태세를 점검하기 위한 목적이다.

국방부가 이날 응급실 개방을 언급한 12개 병원은 국군의무사령부 소속 △국군수도병원 △국군서울지구병원 △국군대전병원 △국군강릉병원 △국군춘천병원 △국군홍천병원 △국군고양병원 △국군양주병원 △국군포천병원 등을 비롯해 해군과 공군에서 운영 중인 △해군포항병원 △해군해양의료원 △공군항공우주의료원이 있다.


의료계는 지난 6일 보건복지부가 내년도부터 의대정원을 현재 대비 2000명 더 늘리겠다고 발표한 정책에 반발해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대정원은 2006년 이후 3058명 수준으로 동결돼왔다. 내년부터 2000명 더 늘릴 경우 5058명으로 정원이 확대돼 의사 부족 현상 등의 문제를 풀 수 있다.

하지만 서울 대형병원 5곳 전공의들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오는 20일부터 근무를 중단하기로 하는 등 집단행동을 예고했다. 또 일부 의대생들도 동맹 휴학을 결정했다. 정부는 의사들을 끝까지 설득해 나가면서도 불법적 진료 거부 등에는 '면허 취소' 등의 카드로 강력 대처할 방침이다.

베스트 클릭

  1. 1 "지하철서 지갑 도난" 한국 온 중국인들 당황…CCTV 100대에 찍힌 수법
  2. 2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3. 3 "1.1조에 이자도 줘" 러시아 생떼…"삼성重, 큰 타격 없다" 왜?
  4. 4 빵 11개나 담았는데 1만원…"왜 싸요?" 의심했다 단골 된 손님들
  5. 5 한국 연봉이 더 높은데…일 잘하는 베트남인들 "일본 갈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