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현 "태영건설 4000억 지원, 협의과정서 필요따라 이뤄질 것"

머니투데이 이창섭 기자 | 2024.02.15 11:53
(서울=뉴스1) 이광호 기자 = 김주현 금융위원장(가운데)과 오영주 증소벤처기업부장관(왼쪽), 안덕근 산업통상부장관이 15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관에서 열린 맞춤형 기업금융 지원 관련 은행장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2024.2.15/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태영건설 채권단이 4000억원 규모의 신규자금 지원 검토와 관련,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 장점이 금융기관하고 기업하고 대화해가면서 필요하면 신규자금도 지급할 수 있다는 점"이라며 "신규자금 지원은 태영건설과 금융기관 협의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서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15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맞춤형 기업금융 간담회' 참석후 기자들과 만나 "채권단은 지원에 따른 어떤 담보나 자기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뭔가를 요구할 수 있다. 확실하게 회수 가능성을 볼 것"이라며 "추가 신규 지원 문제는 당사자간 협의해가면서 하는 과정이고 당연히 법정관리보단 밀고 당기기 할수밖에 없어 일희일비할 필요 없다"고 이같이 밝혔다.

최근 시장의 4월 위기설에 대해 그는 "지금 어렵다는 건 주지의 사실이고 개인 뿐만 아니라 가계도 부채가 많은 상황에서 돈 못벌면 위기가 오는 것"이라며 "가계뿐만 아니라 증시에서도 신용대출이 전에 5조 안팍이 24조까지 올라가고 코로나 극복과정에서 부채 엄청 늘었는데 갑자기 금리 오르고 경기 안 좋아지고 당연히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가계부채나 PF(프로젝트파이낸싱) 문제는 한꺼번에 터지지 않도록 시간 갖고 조금씩 나눠서 또 한쪽에선 대비해놓는 양대 축이 같이 갈것"이라며 "위기설이 구체적으로 무순 이야기 인지 모르겠지만 그런 위기가 발생 안 되도록 정부가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상업용 해외 부동산 위험에 대해선 "ELS는 상반기, H지수가 높았을 때 나간 게 3년 만기라 갑자기 만기 돌아오는데 해외 부동산은 만기가 앞으로 몇년간 분산돼 있다"며 "투자자들이 일부 공모펀드 있지만 대부분 기관투자자라서 ELS와는 좀 다르다"고 진단했다. "만기가 분산돼 있고 오랜 기간 걸쳐지니까 동시에 봐야할 게 손실흡수 능력"이라며 "피해 규모가 크기 않다면 크게 걱정할 문제 아니다"고 말했다.


홍콩 ELS 사태와 관련해선 "제도개선은 필요한 영역이 있는데 금감원에서 1차조사하고 2차 조사 나갔다. 현장검사 뿐만 아니라 민원 들어온게 많아 그거 분석하고 현장검사 통해 보면 문제가 무엇인가가 구체적으로 나올 수 있다"며 "은행만 문제가 아니라 증권사도 꽤 팔아서 그런 문제 내부 검토중으로 여러 가지 제도 방안 마련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이 요구한 은행의 자율배상에 대해서는 "자율배상은 말 그대로 자율이니까 금융권에서 알아서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규모 과징금 우려에 대해선 "눈 앞에 현안이 많아 과징금은 한참 뒤 문제"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인가 검토가 4월 총선용 정책이란 비판에는 반박했다. 그는 "인가 절차는 심플해 신청하면 거기에 따라서 금감원에서 그걸 보고 금융위에서 결정하는 시스템"이라며 " 시스템대로 가는 거지 일부러 땡기고, 치고 그건 말이이 안 맞는다"고 말했다.

기업 밸류업 계획에 대해 김 위원장은 "기업과 거래소 양대 축이 되야 해서 기업의 의견이나 수용가능성 물밑에서 접촉 중"이라며"이달 말이나 하순에 공청회열고 의견을 수렴하려고 한다. 그걸 종합해서 빠른 시간에 구체적 가이드라인 도출하고 시행할 것"이라고 답했다.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2. 2 김호중 '음주 뺑소니' 후폭풍…끈끈하던 개그 선후배, 막장소송 터졌다
  3. 3 "1.1조에 이자도 줘" 러시아 생떼…"삼성重, 큰 타격 없다" 왜?
  4. 4 빵 11개나 담았는데 1만원…"왜 싸요?" 의심했다 단골 된 손님들
  5. 5 한국 연봉이 더 높은데…일 잘하는 베트남인들 "일본 갈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