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상승했지만, 대구 등 전국 주택시장 빙하기... "고금리 불안 여전"

머니투데이 정혜윤 기자 | 2024.02.14 11:00
/사진제공=주택산업연구원

주택사업자들이 이달 전국 주택 경기가 나빠질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 1·10 대책에 대한 기대감은 있지만 고금리 등에 따른 시장 위축으로 사업자들이 체감하는 시장 경기는 여전히 얼어붙었단 얘기다.

14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에 따르면 이달 전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지난달 대비 2.7p 하락한 64.0으로 전망됐다.

경기전망지수는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를 대상으로 주택사업 경기 전망을 설문해 산출한다. 이 지수가 85 미만이면 하강 국면, 85~115 미만은 보합국면, 115~200 미만이면 상승 국면으로 본다.

전국에서는 대구가 18.4p(80.9→62.5)로 가장 큰 하락 폭을 나타냈다. 반면 제주는 19.5p(55.5→75.0)로 가장 큰 상승 폭을 나타냈다.

수도권은 전월 대비 1.1p(60.6→61.7) 상승했다. 1기 신도시 재정비 등에 의해 일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단 전월 대비 소폭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4분기부터 이어온 하락세로 지수가 60대 안에 머물렀다. 사업자들이 느끼는 경기가 여전히 부정적인 시각에 머물러 있다는 뜻이다.

서울·경기는 각각 2.2p(65.9→68.1), 4.6p(57.5→62.1) 상승했다. 서울과 경기 지수 상승은 그간 하락세가 없었던 지역 중심으로 매수세가 살아난 덕분이다. 분양경쟁률도 높아지면서 긍정적인 기대를 불러일으킨 것으로 보인다.


/사진제공=주택산업연구원

비수도권은 사업 경기를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지역이 더 많았다. 제주, 충남, 세종, 울산을 제외한 지역 모두 하락세를 나타냈다. 그 중 대구가 18.4p(80.9→62.5)로 가장 크게 하락했다.

대구는 지난해 2월 이후 미분양 주택 수가 감소세지만 악성 미분양 주택인 준공 후 미분양은 지난해 9월부터 증가하고 있다. 시행사의 주택 사업 승인 반납 사례와 사업계획 승인 후 착공을 못 하는 단지 발생 등 전체적으로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어 경북 13.9p(76.4→62.5), 전남 10.8p(73.3→62.5), 전북 9.1p(73.3→64.2), 광주 7.6p(63.1→55.5) 순이었다.

주산연 관계자는 "앞으로 실질적인 경기 활성화로 연결하기 위해 금리 인하와 더불어 보다 실효성 있는 시행방안 등 후속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국 자재수급지수도 전월대비 6.4p 하락한 81.6으로 나타났다. 자재수급지수는 지난해 9월 기준선인 100을 회복한 이후 5개월 연속 하락세다. 사업경기가 침체한 가운데 사업자들이 느끼는 원자재 가격 부담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자금조달지수는 7.7p 하락한 58.4로 집계됐다. 지난해 8월부터 하락세를 유지하던 자금조달지수는 지난해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유동성 문제, 고금리 등 악화한 자금시장 여건에서 태영건설 워크아웃 등 PF(프로젝트파이낸싱) 사업장 불안 요인이 커지면서 사업자가 느끼는 자금시장 위기감이 악화한 것으로 보인다.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음주 뺑소니' 후폭풍…끈끈하던 개그 선후배, 막장소송 터졌다
  2. 2 '나혼산'서 봤는데…'부자언니' 박세리, 대전 집 경매 넘어갔다
  3. 3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
  4. 4 군중 앞 끔찍한 전처 살해…"안 잡힐 자신 있다" 증발 16년째[뉴스속오늘]
  5. 5 "살결 부드러워"… BTS 진에 '기습뽀뽀' 한 일본팬, 뻔뻔한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