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FOMC 성명서에서 바뀐 점은?…비둘기와 매의 어색한 동거

머니투데이 권성희 기자 | 2024.02.01 09:00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올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가 발표된 1월31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기술주 위주로 하락했다. S&P500지수는 1.6%, 나스닥지수는 2.2% 떨어졌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기자회견에서 오는 3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낮다고 말한 것이 증시를 끌어 내렸다.

이날 FOMC 결과를 담은 성명서도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배제해 금리 인하를 위한 초석은 마련했지만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이에 대해 "연준이 금리 인하가 가능하지만 임박하지는 않다는 신호를 보냈다"고 해석했다.



경제 둔화→견고한 확장


이번 성명서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연준이 2022년 3월 금리 인상을 시작한 후 처음으로 추가 금리 인상에 편향된 스탠스를 중립으로 방향 전환했음을 보여줬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번 FOMC 성명서는 지난해 12월과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났다.

우선 경기 진단이 달라졌다. 지난해 12월에는 "최근의 지표들은 경제 활동의 성장세가 지난해 3분기 강력한 속도에서 둔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최근의 지표들은 경제 활동이 견고한 속도로 확장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진단했다. 이는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연율 3.3%로 이코노미스트들의 전망치 2.0%를 크게 웃돌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노동시장과 인플레이션에 대한 판단은 동일했다. "취업자수 증가폭이 둔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강하고 실업률은 낮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과 "인플레이션은 지난 1년간 완화됐으나 높은 상태에 머물러 있다"는 것이다.



"인플레 리스크 주시"는 유지


고금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언급은 아예 삭제됐다. "미국 은행 시스템은 건전하고 탄력적이다. 가계와 기업에 더 빠듯해진 금융과 신용 조건이 경제 활동과 고용, 인플레이션에 부담을 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영향의 범위는 불확실하다." 이 부분이다.


대신 "위원회는 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들을 달성하는데 놓인 리스크들이 좀더 균형 잡힌 상태라고 판단한다"는 문장이 새로 들어갔다.

하지만 "경제 전망이 불확실하다"며 "위원회는 인플레이션 리스크에 매우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는 문장은 유지됐다.

고용 악화와 인플레이션 상승이라는 두 가지 리스크가 이전보다는 비슷한 상태가 됐으나 여전히 인플레이션 리스크에 조금 더 주목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결국 아직 인플레이션에 대해 승리했다고 선언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보여준다.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배제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는 문장은 삭제됐다. "위원회는 추가적인 정보와 그것이 통화정책에 시사하는 바를 판단할 것"이라는 표현과 "인플레이션을 장기간에 걸쳐 2%로 되돌리기 위해 적절할 수도 있는 어떤 추가적인 정책 강화를 결정함에 있어서 위원회는 통화정책 긴축의 누적적인 효과와 통화정책이 경제 활동과 인플레이션, 경제 및 금융 전개 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할 것"이라는 문장이다.

대신 "연방기금 금리의 목표 범위에 대한 어떤 조정을 고려함에 있어서 위원회는 조심스럽게 앞으로 나오는 데이터들과 향후 전개되는 전망, 리스크들 사이의 균형을 고려할 것"이라는 문구가 삽입됐다.

특히 "위원회는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2%를 향해 내려가고 있다는 더 큰 확신을 얻을 때까지 (연방기금 금리의) 목표 범위를 낮추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결국 이번 FOMC 성명서 내용을 요약하자면 고용 위축과 인플레이션 상승 리스크가 비슷한 수준으로 맞춰지고 있어 추가 금리 인상의 가능성은 배제하지만 인플레이션에 대해 여전히 안심할 수는 없으니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것이다.

베스트 클릭

  1. 1 "지하철서 지갑 도난" 한국 온 중국인들 당황…CCTV 100대에 찍힌 수법
  2. 2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3. 3 "1.1조에 이자도 줘" 러시아 생떼…"삼성重, 큰 타격 없다" 왜?
  4. 4 빵 11개나 담았는데 1만원…"왜 싸요?" 의심했다 단골 된 손님들
  5. 5 한국 연봉이 더 높은데…일 잘하는 베트남인들 "일본 갈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