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4분기 GDP 성장률 0.6%…연간 1.4% 성장

머니투데이 박광범 기자 | 2024.01.25 08:26
지난 4분기 우리나라의 실질 GDP(국내총생산)가 전기 대비 0.6% 성장했다. 2023년 연간 성장률은 1.4%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23년 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 속보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실질 GDP는 전 분기보다 0.6%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2.2% 성장했다.

이로써 우리나라의 2023년 연간 성장률은 1.4%를 기록했다. 한은과 정부 예상치(1.4%)에 부합했다. 다만 성장률로만 따지면 2022년(2.6%)의 절반 수준이다.

분기별 경제성장률 추이를 살펴보면 코로나19(COVID-19) 초기인 2020년 1분기(-1.3%)와 2분기(-3.0%)는 역성장을 기록했다. 이어 같은해 3분기(2.3%) 상승 전환했다. 이후 2022년 3분기(0.2%)까지 9개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세를 유지했다.

하지만 수출 부진에 민간소비까지 위축되며 2022년 4분기(-0.3%) 역성장을 기록했다가 지난해 1분기 민간소비 덕에 0.3% 성장하며 간신히 역성장을 면했다. 이어 지난해 2분기부터 4분기까지 3개분기 연속 0.6% 성장률을 보였다.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0.2%)가 재화소비 감소에도 거주자의 국외소비지출 등이 늘며 증가했다..

정부 소비(0.4%)는 물건비 및 사회보장 현물 수혜 증가로 늘었다.

수출은 반도체와 등을 중심으로 2.6%, 수입은 석유제품 등을 위주로 1% 각각 늘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등을 중심으로 3% 증가했다. 반면 건설투자는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모두 줄며 4.2% 감소했다.


4분기 성장에 가장 크게 기여한 항목은 순수출(수출-수입)이었다. 4분기 성장률에 대한 순수출 기여도는 0.8%p(포인트)를 기록했다. 순수출이 우리나라 4분기 성장률을 0.8%p 끌어올렸다는 의미다.

민간소비와 정부소비는 각각 0.1%p씩 4분기 성장에 기여했다. 설비투자 기여도는 0.3%p였다.

반면 건설투자는 4분기 성장률을 0.7%p 갉아 먹었다.

주체별 기여도를 보면 민간이 전분기(0.4%p) 보다 하락한 0.2%p를 기록했다. 정부 기여도는 0.3%p로 전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경제활동별로는 전기·가스·수도업이 전기업 등을 중심으로 11.1% 증가했다. 제조업도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제조업 등을 중심으로 1.1% 늘었다. 서비스업은 사업서비스업, 의료·보건업 등에 힘입어 0.6% 성장했다.

반면 농림어업은 농산물 생산 등이 줄어 6.1% 감소했다. 건설업도 건물건설, 토목건설이 모두 줄어 3.6%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분기 보다 0.4% 증가하며 실질 GDP 성장률(0.6%)을 밑돌았다.

다만 지난해 연간 실질 GDI 증가율(1.4%)은 교역조건이 2002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며 실질 GDP 성장률(1.4%)과 같았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무섭다" 구하라 사망 전, 비밀계정에 글+버닝썬 핵심 인물에 전화
  4. 4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5. 5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