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홍콩 ELS 2300억 손실 확정…손실률 56% 상품도

머니투데이 김도엽 기자 | 2024.01.21 13:47
(서울=뉴스1) 황기선 기자 =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기초주가연계증권(ELS) 피해자모임이 19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에서 손팻말을 들고 보상을 촉구하고 있다. 2024.1.19/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올해 들어 5대 은행이 판매한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주가연계증권(ELS)의 원금 손실액이 23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H지수 하락이 가팔라지면서 손실률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21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에서 판매된 홍콩H지수 ELS 상품에서 올해 들어 지난 8일부터 19일(농협은행 18일)까지 2296억원의 원금 손실이 발생했다. 이 기간 동안 만기가 도래한 원금 4353억원 가운데 2296억원이 손실(손실률 52.8%)됐으며 2057억원이 상환됐다.

H지수 ELS는 홍콩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50개 종목을 추려서 산출하는 지수인 H지수를 기초로 하는 파생상품이다. 홍콩 H지수는 2021년 2월 1만2000선을 넘어섰으나 그해 말 8000대까지 떨어진 뒤 현재 5100대까지 내렸다. 지난 2022년 10월 말에는 5000선이 무너지기도 했다.

지난 17일 만기가 도래한 상품에서는 56.1% 손실률도 확인되는 등 손실률은 점점 커질 전망이다. 홍콩 H지수가 고점이던 2021년 판매된 상품들의 만기가 이달부터 돌아오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5일 기준 홍콩 H지수 기초 ELS 총 판매잔액은 19조3000억 원으로, 79.6%인 15조4000억 원의 만기가 올해 도래한다. 특히 상반기(1분기 3조9000억 원·2분기 6조3000억 원)에 만기가 집중돼 있다.


계속되는 하락세에 투자자들의 문제제기도 거세지고 있다. 올해에만 500건이 넘는 민원이 5대 은행에 제기됐다. 투자자들은 지난 19일 금융감독원 앞에서 항의 집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이에 금융당국은 지난 8일부터 최대 판매사인 KB국민은행, 한국투자증권 등을 시작으로 현장검사를 실시 중이다. H지수 ELS 판매과정에서 자본시장법 등 관련 법규 위반 여부와 판매 한도관리 등 전반적인 관리체계를 점검한 뒤 손실 배상기준을 정할 방침이다.

베스트 클릭

  1. 1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
  2. 2 "말도 안 되는 휴진하게 된 이유는…" 소아흉부외과 교수 '통곡의 편지'
  3. 3 신동엽, '대마초 사건' 자폭 개그에…"부끄러운 줄 모르냐" 일침
  4. 4 3시간만에 수정된 '최태원 이혼 판결문'…"파기 사유도 가능"
  5. 5 군중 앞 끔찍한 전처 살해…"안 잡힐 자신 있다" 증발 16년째[뉴스속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