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심판 때문에 못 이겼다" 레바논과 비긴 중국, 애꿎은 분노

머니투데이 차유채 기자 | 2024.01.18 08:21
(왼쪽부터) 한국 김경민 부심, 고형진 주심, 박상준 부심이 17일(현지시간) 카타르 도하 알투마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카타르 아시안컵 조별리그 A조 중국과 레바논의 경기에서 경기 종료 후 선수들과 인사하고 있다. /사진=뉴스1

중국과 레바논이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A조 조별리그 2차전을 0-0으로 비긴 가운데, 중국 누리꾼들이 중국이 승리하지 못한 이유가 한국인 심판진 때문이라며 애꿎은 분노를 쏟아냈다.

지난 17일 오후 8시 30분(이하 한국 시간) 카타르 도하의 알투마마 스타디움에서 중국과 레바논의 2023 카타르 아시안컵 A조 조별리그 2차전이 열렸다. 치열한 경기였으나 중국과 레바논은 0-0으로 득점 없이 비겼다.

이번 경기는 시작 전부터 심판진 배정으로 화제를 모았다. 지난 15일 치러진 한국-바레인 E조 조별리그 1차전에서 중국 국적의 마닝 주심이 한국 선수들에게 옐로카드만 무려 5장을 꺼냈는데, 이번 경기에는 심판진이 한국인으로 다수 배치됐기 때문. 이에 중국 누리꾼들과 미디어들은 한국 심판진이 보복하는 것 아니냐며 우려를 드러냈다.

그러나 주심을 맡은 고형진 심판은 중국 측의 '카드 복수' 걱정과 달리 깔끔하게 경기를 진행했다. 전반 30분 중국 공격수 장위닝이 공과 무관하게 상대 가슴을 걷어찬 장면에서 옐로카드가 나왔는데, 이 장면이 유일한 옐로카드였다.

레바논 카릴 카미스가 중국 다이웨이진의 얼굴을 축구화로 걷어차는 장면 /사진=OSEN

그럼에도 중국 누리꾼들은 전반 14분, 다이웨이진이 얼굴을 걷어차인 장면에서 카드가 나오지 않은 것에 대해 불만을 쏟아냈다. 당시 레바논 수비수 카릴 카미스의 축구화에 입 부근을 맞은 다이웨이진은 그대로 쓰러졌다.


이 장면에 대해 고형진 주심은 중국의 오프사이드를 선언했다. 비디오 판독(VAR)도 진행했으나 이를 반칙으로 보지 않았다. 가속도를 이기지 못해 나온 동작이고, 얼굴을 노리고 찬 플레이는 아니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중국 누리꾼과 미디어는 크게 분노했다. 중국 매체 '텐센트 스포츠'는 "이 장면은 레드카드 아니냐. 얼굴을 걷어차였는데 VAR 이후에도 한국 주심은 가만히 있었다"고 지적했다. 중국 누리꾼들도 "한국 심판의 보복", "스포츠맨십이 없는 건가", "저 장면은 퇴장이 맞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일각에서는 "한국 심판 때문에 이기지 못했다"는 억지 주장도 나왔다. 한 누리꾼은 "레바논이 저 장면에서 퇴장당해서 10명으로 싸웠다면 우리가 이길 수 있었다"며 무승부의 책임을 한국 주심에게 돌렸다.

중국은 현재 2무로 A조 2위에 올랐다. 최종전 상대는 최근 기세가 좋은 개최국 카타르다. 카타르는 2승으로 A조 1위를 기록 중이다. 중국과 카타르의 A조 최종전은 오는 23일 열린다.

베스트 클릭

  1. 1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
  2. 2 "두 번의 임신 빌미로 금전 요구"…허웅, 전 여친 고소한 이유
  3. 3 '합의 거절' 손웅정 "손흥민 이미지 값이라며 수억 요구…돈 아깝냐더라"
  4. 4 감자 캐던 소녀, 큐대 잡더니 '국민영웅' 됐다…"한국은 기회의 땅"[인터뷰]
  5. 5 "바퀴 없으니 잘 닦여" 주부들 입소문…물걸레 로봇청소기 1위 기업의 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