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에서 성적보다 인성 봐야"…6년 만에 순위 달라졌다

머니투데이 정경훈 기자 | 2024.01.17 21:53
(부산=뉴스1) 김영훈 기자 =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101일 앞둔 8일 부산 중구 남성여자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고3 수험생들이 수능 공부를 하고 있다. 2022.8.8/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우리나라 성인들이 대입 전형에서 성적보다 인성이 더 중요하게 평가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여론조사 결과 나타났다.

'뉴스1'에 따르면 한국교육개발원은 이 같은 내용의 '교육 여론조사'(KEDI POLL 2023)를 17일 공개했다. 한국교육개발원은 교육과 교육 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1999년부터 매년 교육 여론조사를 해왔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7월31일부터 8월17일까지 만 19세 이상 75세 미만 전국 성인남녀 4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자들은 대입 전형에서 가장 많이 반영돼야 하는 사항으로 '인성 및 봉사활동'(27.8%)을 꼽았다. 이어 '특기·적성'(26.0%), '수능'(25.4%), '고교내신 성적'(18.7%) 순이었다. '인성 및 봉사활동'이 1위로 선정된 것은 2014년 이후 9년 만이다. '수능'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매년 1위로 뽑혔으나 6년 만에 1위 자리를 내줬다.

다만 초·중·고교생 자녀를 둔 학부모만 놓고 보면 '특기·적성'(32.8%)이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고 이어 '수능'(23.7%), '인성 및 봉사활동'(21.8%) 순이었다. 대학생을 둔 학부모의 경우 '수능'(28.8%), '특기·적성'(24.7%), '인성·봉사활동'(24.7%) 순이었다.

'학생이나 학생 보호자에 의한 교육활동 침해 행위 정도'에 대해서는 62.5%가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심각하지 않다'는 응답은 10.1%에 불과했다.

5점 척도로 환산한 '교육활동 침해 심각도'는 3.78점이었다. 2021년 3.39점, 2022년 3.61점으로 3년 새 가장 높은 점수였다.

교육활동 침해가 심각한 이유로는 응답자 중 가장 많은 39.6%가 '학생 인권의 지나친 강조'를 꼽았다. 이어 '교육활동 보호에 대한 학생 및 보호자의 인식 부족'(22.7%), '학교 교육이나 교원에 대한 학생 및 보호자의 불신'(17.2%) 순이었다.


초·중·고교 교사의 능력과 자질에 대한 신뢰 정도는 '보통'이 48.3%로 가장 높았다. '긍정적'은 32.7%, '부정적'은 19.1%였다.

우리나라 초·중·고교 학생의 전반적인 인성 수준에 대해서는 45.9%가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초·중·고교 학교폭력에 관해서는 응답자의 59.9%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학교폭력의 주요 원인으로는 '가정교육의 부재'(37.4%)를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은 '학교의 학생 지도 부족'(24.0%)이었다.

학교폭력 가해 학생을 대상으로 '처벌 조치가 엄격해져야 한다'는 의견에는 60.6%가 동의했다. '화해와 선도를 중시해야 한다'는 의견은 19.5%에 불과했다.

사교육 지출 비용에 대한 질문에는 초등학생 학부모의 59.0%, 중학생 학부모의 76%, 고등학생 학부모의 76.6%가 부담이 크다고 답했다.

'자녀를 학원에 보내지 않으면 불안하다'는 문항에 유치원생 부모 34.3%, 초등학생 부모 37.8%, 중학생 부모 46.9%, 고등학생 부모 45.3%가 동의해 경제적 부담에도 불구하고 자녀에게 사교육을 시키지 않으면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양극화가 심각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68.8%였다. '보통' 28.2%, '심각하지 않음' 3.1%였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
  5. 5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