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혀버린 교역 항로, 한달새 SCFI 두배…"사태 장기화 우려"

머니투데이 강주헌 기자 | 2024.01.15 15:01
세계 물류 동맥인 홍해 항로가 막힌 데 이어 호르무즈 해협에서 폐쇄 위기가 고조되면서 해운 운임이 급등해 물류 대란 우려가 커졌다. 사태 장기화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수출기업들을 중심으로 산업계가 비상이 걸렸다.

15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에서 유럽과 미국 서해안을 오가는 화물노선 운임을 나타내는 글로벌 해운 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12일 기준 전주 대비 16.3% 오른 2206.03를 기록했다. SCFI 지수가 2000선을 넘은 것은 2022년 9월 23일 이후 약 1년 4개월 만이다. 지난달 15일(1093.52)에 비해선 2배 넘게 올랐다.

운임이 오른 것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국한됐던 전쟁이 중동 전체로 확산하는 가운데 공급망 리스크 문제가 불거진 탓이다. 예멘의 친(親)이란 후티 반군은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침공에 대한 반발로 지난 연말부터 홍해를 지나가는 민간 선박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이후 선박들은 남아프리카공화국 희망봉을 돌아가는 우회 항로를 택해 왔다.

한국해양진흥공사의 '홍해 운항 제한에 따른 컨테이너선 시장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수에즈운하를 이용한 주간 평균 컨테이너선은 114척에 달했지만, 올해 첫 2주간은 50척 이하로 급감했다. 홍해~이집트 항로는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곳으로 수에즈 운하를 지난다. 수에즈운하는 세계교역량의 12%를 차지하는 핵심 해상물류 통로로 평가받는다.
(서울=뉴스1) 김초희 디자이너 = 11일(현지시간) 이란 반관영 타스님통신과 IRNA통신 등에 따르면 이란 해군은 이날 오전 오만만 해역에서 법원 명령에 따라 미국 유조선 세인트 니콜라스호를 나포했다. 예멘의 후티 반군이 홍해를 지나는 선박을 공격하며 중동 지역 긴장감이 고조하는 가운데 이란도 자국 앞바다인 호르무즈 해협을 틀어막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또 다른 교역 항로인 호르무즈 해협도 상황이 좋지 않다. 지난 11일(현지시간) 이란 해군이 호르무즈해협에서 미국 유조선을 나포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과 영국 다국적군은 예멘 내 후티 반군 장악 지역 16곳을 타격하는 등 군사작전을 감행했다. 호르무즈 해협은 페르시아만과 오만만을 잇는 지역으로 전 세계 원유 물동량의 6분의 1, 천연가스 물동량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두 항로 모두 운임이 뛰었다. 상하이~유럽 항로 컨테이너 운임은 12일 기준 1TEU(6m 길이 컨테이너 1개)당 3103달러로 지난달 1일보다 3.6배, 같은 기간 호르무즈 해협을 오가는 상하이~중동 항로의 컨테이너 운임은 1TEU당 2224달러로 1.9배 상승했다.


관건은 사태 장기화 여부다. 컨테이너 선사들이 위협을 감수한 상태로 수에즈 운하 통행을 조기에 전면 재개하기는 어려울 거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내 주요 수출 기업은 장기 계약을 맺은 까닭에 단기 운임 상승의 영향이 제한적이라 당장 차질은 없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중소 수출기업이다. 그러나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수출 물량이 크지 않고 단기적인 물류비 인상에도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와 같은 운임 급등세는 중국의 춘절 성수기 등을 지나면 다소 완화될 수는 있지만 운항거리가 늘어나 선박 운항 시간이 길어져 한동안 선복 부족 현상은 지속될 것"이라며 "사태가 길어지면 유럽행 수출 비중이 높은 중견·중소 기업들을 중심으로 타격이 현실화되기 때문에 미리 장기 계약을 맺는 등 대응책을 고심 중"이라고 밝혔다.

베스트 클릭

  1. 1 태국 보트 침몰 순간 "내리세요" 외친 한국인 알고보니…
  2. 2 경매나온 홍록기 아파트, 낙찰돼도 '0원' 남아…매매가 19억
  3. 3 "아이고 아버지! 이쑤시개 쓰면 안돼요"…치과의사의 경고
  4. 4 민희진 "뉴진스, 7년 후 아티스트 되거나 시집 가거나…"
  5. 5 '수상한 안산 주점' 급습하니 PC 14대…우즈벡 여성 주인 정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