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콘덴싱보일러 보조금 중단...업계 성장엔진 꺼지나

머니투데이 지영호 기자 | 2024.01.08 16:40
올해부터 일반가정의 친환경보일러(콘덴싱보일러)의 구매보조금이 중단된다. 보일러업계는 정부의 친환경보일러 지원사업으로 수혜를 봤지만 2년전부터 보조금이 절반으로 축소된 데 이어 올해부터 아예 끊기면서 매출에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8일 정부와 보일러업계에 따르면 환경부가 진행하고 있는 친환경보일러 지원사업이 올해부터 사실상 중단됐다. 2021년까지 일반보일러 대신 콘덴싱보일러를 구입하면 20만원을 지원했다가 2022년부터 10만원으로 50% 삭감됐는데, 올해는 이마저도 지급하지 않기로 한 것이다. 다만 저소득 가구는 2만명에 한해 60만원 지원을 유지한다.

2017년부터 시작된 가정용 친환경보일러 지원사업은 일반보일러를 콘덴싱보일러로 교체 시 정부와 지자체가 매칭해 보조금을 지급하는 내용이다. 가정용 보일러에도 미세먼지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줄이는 목적으로 시작됐다.

지방자체단체별로 시범적용했던 지원사업은 2019년 '친환경보일러 의무 설치' 규정을 담은 '대기환경특별법'이 통과되면서 탄력을 받았다. 이 법은 설치가 불가능한 지역을 제외하고 보일러를 새로 설치할 때 반드시 친환경보일러를 설치하는 것이 골자다.

관련 예산도 대폭 늘렸다. 환경부 국고보조금 확정내역에 따르면 가정용 저녹스보일러 보급사업 지원예산은 국비와 지방비를 포함해 2017년 5억원에서 2020년 850억원으로 급상승했다. 하지만 2022년부터 일반가정의 구매보조금을 절반으로 축소했고 예산도 줄어들면서 올해 150억원까지 줄어들었다.

(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 오전 저소득층 에너지효율개선사업 대상지인 서울 서대문구 사회복지시설 로뎀나무를 방문해 고효율 보일러를 살펴보고 있다. (공동취재) 2023.2.24/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상황이 이렇다 보니 보일러업계에도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도 도입 전까지 보일러업계의 내수시장 친환경보일러 판매비중은 40%대에 머물렀지만, 제도 도입 후 80%대로 높아지는 등 친환경 보일러 의존도가 높아져 있다.


그동안 친환경보일러 보조금 지급정책은 보일러업계의 외형 성장을 이루는 자양분이 됐다는 평가다. 업계 선두권인 경동나비엔의 경우 2016년 매출액은 5060억원(개별기준)이었지만 2021년 9511억원으로 5년만에 2배 가까이 성장했다. 하지만 개인당 보조금이 절반으로 줄어든 2022년 9795억원으로 성장이 주춤했고 아직 실적이 공개되지 않은 지난해의 경우 역성장이 전망된다. 3분기까지 누적 매출액은 7021억원으로 전년동기 7441억원 대비 5.6% 감소했다.

올해 전망도 밝지 않다. 주택경기 악화로 신규 분양 수요가 급감하고 이사 수요도 감소한 데가 일반가구의 친환경보일러 보조금 중단까지 겹친 탓이다. 업계에 따르면 가정용 보일러 시장을 연간 130만대로 추산하는데 교체수요(10년 주기) 대 입주수요 비율을 3대 1로 본다. 주택경기가 살아날 때 수요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일각에선 콘덴싱보일러 전환이 상당부분 진행됐고 고장이 발생할 때 교체하는 비중이 크다보니 보조금 중단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보일러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보일러업계가 보조금 지급 정책으로 수혜를 본 것은 맞다"면서도 "보일러는 사용빈도가 잦은 겨울에 고장이 발생해 신규 수요로 이어지는데 10만원 더 비싸다고 구입을 미루는 경우는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남편, 술먹고 성매매"…법륜스님에 역대급 고민 털어논 워킹맘
  2. 2 "보고싶엉" 차두리, 동시 교제 부인하더니…피소 여성에 보낸 카톡
  3. 3 붕대 뒹구는 '강남 모녀 피살' 현장…"무서워 출근 못해" 주민 공포[르포]
  4. 4 김호중 극성팬, 임영웅까지 비난…"동기 구속됐는데 공연하냐"
  5. 5 [단독]강남 한복판 60대 남성이 휘두른 칼에…모녀 모두 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