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시진핑 vs 대만 차이잉원…주가 보면 '차이'의 완승 [차이나는 중국]

머니투데이 김재현 전문위원 | 2023.12.31 06:32

편집자주 | 차이 나는 중국을 불편부당한 시선으로 바라봅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차이잉원 대만 총통 /사진=중국 정부 홈페이지와 차이잉원 총통 X(구. 트위터) 캡쳐
중국의 대만 침공설이 끊임없이 제기되면서 대만이 풍전등화에 처해 있는 것 같지만, 경제는 피크 차이나(중국 경제가 성장의 정점을 지났다는 주장)가 제기되는 중국보다 대만이 훨씬 낫다.

마침 지난 21일 대만 국가발전위원회(NDC)가 흥미로운 보고서를 내놓았다. '대만 경제발전성과 회고 및 미래전망'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다. NDC는 2022년 대만 국내총생산(GDP)이 7605억달러로 세계 21위를 차지했으며 2016년~2023년 기간 연평균 3.17%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동아시아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특히 눈에 띈 건 대만 증시와 중국 증시 수익률 차이다. 2016년 차이잉원(蔡英文) 총통 취임 이후 대만 증시가 117.4% 상승하는 동안 중국 증시는 4.3% 상승에 그치면서 주가로 따지면 차이잉원 대만 총통이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을 압도했다.

대만 증시와 중국·홍콩증시를 비교해보자.



대만증시 상승률 117.4%…中 4.3% 상승, 홍콩은 15.4% 하락


차이잉원 총통이 취임한 2016년 5월 20일 이후 2023년 12월 15일까지 대만 증시는 117.4% 상승하며 동아시아 국가 중 최고 수익률을 기록했다. 반면 같은 기간 중국 증시는 4.3% 오르는 데 그쳤으며 홍콩 증시는 15.4% 하락하면서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

2018년초 3만선을 상회하던 홍콩 항셍지수가 1만6000대로 하락하는 동안 가권지수가 1만선에서 1만7000선대로 상승하면서 항셍지수를 추월한 것도 주목할 대목이다. 게다가 홍콩 항셍지수 하락은 알리바바, 텐센트 등 중국 인터넷기업을 겨냥한 시진핑 정부의 반독점 정책 영향이 결정적이다. 뒤에서 자세히 살펴보자.

동아시아로 눈을 돌려보면 97% 상승한 일본 증시가 돋보였고 한국, 싱가포르 증시는 각각 31.6%, 12.8% 올랐다.

2016년 5월 이후 대만 가권지수와 중국을 대표하는 상하이지수를 비교해보자. 대만 가권지수가 2016년 5월말 8463.61에서 2023년 12월 26일 1만7751.73으로 100% 넘게 오르는 동안, 상하이지수는 2821.05에서 2898.88로 거의 제자리 걸음을 하는 데 그쳤다.

중국은 상하이거래소, 선전거래소 및 베이징거래소 등 3개의 증권거래소가 있다. 그나마 상하이거래소 상장 종목으로 구성된 상하이지수는 주로 대형 국유기업이 포함돼 있기 때문에 하락폭이 작지만, 선전거래소에 상장된 민영 중소기업과 기술주들의 하락폭은 크다.



중국과 대만의 경쟁력을 대표하는 시가총액 5대 기업


중국 상장 기업 중 시가총액 1위는 중국 최대 SNS·게임업체인 텐센트(3575억달러, 465조원)다. 2~5위는 중국 최대 바이주(白酒)업체 마오타이(2937억달러), 중국 최대은행 공상은행(2230억달러),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1931억달러) 및 신흥 전자상거래 강자 핀둬둬(1929억달러)다.

이들이 상장된 거래소는 제각각이다. 텐센트는 홍콩거래소에 상장돼 있고 마오타이는 상하이거래소, 공상은행은 상하이와 홍콩 거래소에 동시 상장돼 있다. 알리바바는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와 홍콩거래소에 상장돼 있으며 핀둬둬는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상태다.


대만 상장기업 중 시가총액 1위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업체인 TSMC다. 시가총액은 5417억달러(704조원)에 달한다. TSMC를 제외한 다른 기업들의 시가총액은 차이가 난다. 2위는 세계 5위 팹리스(반도체설계)기업 미디어텍(515억달러)이 차지했다. 3~5위는 애플 협력업체인 폭스콘(466억달러), 대만 최대 통신사 중화텔레콤(297억달러), 금융지주인 푸본파이낸셜(271억달러)이다.

2016년 5월말 1242억달러(161조원)에 불과하던 TSMC 시가총액이 5417억달러(704조원)로 4배 넘게 커졌다는 건 글로벌 반도체 산업에서 TSMC의 입지가 크게 확대됐다는 걸 의미한다. 미디어텍 역시 글로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시장에서 30%가 넘는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는 등 대만 반도체 기업의 경쟁력이 돋보인다.

반면 중국 상장기업 중 시총 1위인 텐센트는 시총이 2016년 5월말 2097억달러(273조원)에서 2021년 2월말 8189억달러(1065조원)로 4배 가까이 급증했으나 지난 12월 26일에는 반토막도 안 되는 3575억달러(465조원)로 감소했다. 4위를 차지한 알리바바도 같은 기간 시총이 2029억달러(264조원)에서 6503억달러(845조원)로 급증했으나 다시 1931억달러(251조원)로 쪼그라들었다.



중국 정부의 반독점 정책으로 폭락한 주가


2021년 2월만 해도 TSMC를 압도하던 중국의 텐센트, 알리바바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정답은 바로 중국 정부의 반독점 정책이다. 2021년 초 이후 시진핑 정부가 사교육 금지, 게임산업 규제 조치 등 인터넷 기업을 겨냥한 반독점 정책을 쏟아내면서 중국 빅테크 주가는 폭락하기 시작했다.

중국 정부의 인터넷 기업 규제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지난 22일 중국 국가신문출판방송총국이 이용자 지출한도 설정, 확률형 아이템 제공 금지 등 과금 유도행위 제한을 골자로 한 게임 규제 초안을 발표하자 중국 최대 게임업체 텐센트가 12.8%, 넷이즈가 24.6% 폭락했다.

중국 빅테크의 직접적인 경쟁자는 대만 기업이 아닌 미국 빅테크다. 바로 '매그니피센트7(Magnificent7)'이라고 불리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엔비디아, 테슬라, 메타 등 대형 기술주 7개다.

올해 이들 'M7'이 75% 상승한 데 반해, 중국 빅테크기업은 죽을 쑤면서 기술경쟁에서도 미중 간의 격차가 커지고 있다. 시진핑 정부의 자국 인터넷 기업 규제가 국가 경쟁력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반면 대만은 미국 등 세계 각국의 반도체 투자 열기와 인공지능(AI) 호황을 타고 성장세를 지속할 전망이다. 대만은 차이잉원 총통 취임 이후 대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신(新)남향 정책을 추진하며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에 대한 투자도 늘리고 있다. 올해 1~11월 대만의 대외투자 중 아세안 투자 비중은 19.3%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중국(11.5%)를 넘어섰다.

대만을 보면 "작은 고추가 맵다"는 말이 떠오른다. 중국도 해협을 두고 대치 중인 대만의 역량을 쉽사리 무시하지 못할 것 같다.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음주 뺑소니' 후폭풍…끈끈하던 개그 선후배, 막장소송 터졌다
  2. 2 '나혼산'서 봤는데…'부자언니' 박세리, 대전 집 경매 넘어갔다
  3. 3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
  4. 4 피자·치킨 20인분 배달가니 "안 시켰다"…후불 '음식테러' 한 사람 정체
  5. 5 군중 앞 끔찍한 전처 살해…"안 잡힐 자신 있다" 증발 16년째[뉴스속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