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값 뚝뚝뚝…"우린 올랐네" 이 동네 집주인들 '휴~'

머니투데이 김효정 기자 | 2023.12.25 14:04
(서울=뉴스1) 박정호 기자 =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63스퀘어 전망대 63아트 유리창 너머로 도심 아파트 단지가 보이고 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강남 3구(강남, 서초, 송파)와 비강남 아파트 간 가구당 평균 매매 가격 격차가 올해 4분기 12억8281만 원으로 1분기 12억4374만 원에서 2분기 12억5962만 원으로 오른 뒤 3분기 연속 격차가 계속 벌어지고 있다. 올해 하반기 서울 아파트 4분기 거래는 4426건으로 3분기 1만827건 대비 59.1% 감소한 가운데 '거래 절벽'에도 격차가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023.12.21/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전국의 아파트 가격이 0.11% 떨어지면서 주택 매매가격이 전월 대비 0.08% 하락했다. 반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는 상승세가 나타나는 등 양극화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매가격이 하락하면서 전국 주택과 아파트 전세가격은 각각 0.09%, 0.15% 상승했다.

25일 KB부동산 월간 주택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이달(12월11일 기준) 수도권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06%, 5대 광역시는 0.14% 하락했다. 수도권에서는 인천(-0.13%), 서울(-0.08%), 경기(-0.03%) 순으로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달 0.04%에서 이달 -0.11%로 하락 전환했다.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08% 하락했다. 서울의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지난달 기준치인 100 아래인 76을 기록하면서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더욱 깊어졌다.

가격 전망지수는 전국 6000여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지역의 가격 상승 여부 전망을 조사해 0~200 범위 지수로 나타낸 것이다. 지수가 100을 초과(미만)할수록 '상승(하락)'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의 주택매매가격은 관악구가 0.36%로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고 노원구(-0.34%), 도봉구(-0.30%), 은평구(-0.18%), 동대문구(-0.15%) 순으로 떨어졌다. 반면 서대문구(0.11%)와 용산구(0.11%), 중구(0.08%), 양천구(0.06%), 성동구(0.05%) 등 일부 지역은 상승했다.

경기지역은 과천(0.36%), 군포(0.34%), 수원 영통구(0.21%), 용인 기흥구(0.10%), 성남 분당구(0.06%) 등이 상승한 반면 파주(-0.26%), 안양 동안구(-0.25%), 의정부(-0.13%), 고양 일산서구(-0.12%), 평택(-0.09%), 남양주(-0.09%) 등은 하락했다.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09% 상승을 기록했다. 서울은 전월 대비 0.23% 상승했고 마포구(0.46%), 양천구(0.43%), 송파구(0.39%), 강서구(0.39%), 서대문구(0.39%) 등이 크게 올랐다. 경기도 0.22% 상승한 반면 인천은 전월 대비 0.01% 하락해 수도권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2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스트 클릭

  1. 1 "아이고 아버지! 이쑤시개 쓰면 안돼요"…치과의사의 경고
  2. 2 경매나온 홍록기 아파트, 낙찰돼도 '0원' 남아…매매가 19억
  3. 3 태국 보트 침몰 순간 "내리세요" 외친 한국인 알고보니…
  4. 4 민희진 "뉴진스, 7년 후 아티스트 되거나 시집 가거나…"
  5. 5 붕대 뒹구는 '강남 모녀 피살' 현장…"무서워 출근 못해" 주민 공포[르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