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C+ '220만배럴 추가 감산' 결정했는데…유가 급락, 이유는?

머니투데이 정혜인 기자 | 2023.12.01 07:14

일부 산유국, 내년 1분기 220만배럴 추가 감산…
"기구 차원 합의 아닌 것 같다" 유가 2%대 하락

/사진=블룸버그
사우디아라비아(이하 사우디) 등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과 러시아 등 비OPEC 산유국 협의체 OPEC 플러스(+)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추가 감산에 합의했다. 다만 시장은 산유국들의 추가 감산 이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 국제유가는 하락했다.

OPEC은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석유 시장의 안정과 균형을 지원하고자 여러 OPEC+ 국가들이 하루 총 220만 배럴의 추가 감산을 결정했다"며 "이런 자발적 감산은 지난 6월 4일에 열린 제35차 OPEC 각료회의에 따른 2024년 필수 생산량 수준에서 계산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는 올해 4월에 발표돼 내년 말까지 연장된 자발적 감산에 추가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OEPC 성명에 따르면 자발적 감산에 나서는 산유국은 사우디(100만 배럴), 이라크(22만3000배럴), 아랍에미리트(UAE, 16만3000배럴), 쿠웨이트(13만5000배럴), 카자흐스탄(8만2000배럴), 알제리(5만1000배럴), 오만(4만2000배럴)이다. 이들은 내년 1월부터 3월 말까지 추가 감산에 나서고, 이후 시장 상황에 따라 생산량을 점진적으로 정상화할 예정이라고 성명은 설명했다.

러시아도 감산 규모는 기존 30만 배럴에서 50만 배럴로 확대했다. 러시아의 추가 감산 역시 내년 1월부터 3월 말까지 이뤄지며, 감산 규모는 올해 5월과 6월 평균 수출량인 원유 30만 배럴·정유 제품 20만 배럴에 따라 결정됐다.

산유국들의 추가 감산은 원유시장 공급량 감소로 이어져 국제유가의 상승 요인이 된다. 하지만 시장 트레이더들은 산유국들이 '자발적'으로 감산을 얼마나 이행할지가 불분명하다고 지적하며 국제유가의 추가 상승 가능성에 선을 그었다. UBS그룹의 지오바니 스타우노보 애널리스트는 "OPEC+ 감산 발표는 (일부 주요 산유국의) '자발적' 감산이지 OPEC+ 합의의 일부가 아닌 것 같다"며 "(산유국이 발표한 감산량의) 상당 부분은 서류상의 약속일 뿐 실제 감산량은 (예상보다) 줄어들 수 있다"고 예상했다.

11월 30일(현지시간) 기준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선물 가격 추이 /사진=인베스팅닷컴
추가 감산을 두고 산유국 간 의견 차이가 있는 만큼 OPEC이 발표한 수준의 감산이 이뤄지지 않아 시장 공급량이 크게 줄지 않고, 원유 가격 역시 크게 오르지 않을 것으로 본 것이다. OPEC+는 앞서 일부 아프리카 회원국의 생산 할당량에 대한 분쟁으로 26일 예정된 회의를 30일로 연기한다고 밝혀, 추가 감산을 둘러싼 산유국 간 의견 충돌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내년 2월물 브렌트유 선물 가격은 2.93% 떨어진 배럴당 80.45달러를 나타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내년 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선물 가격은 전일 대비 2.4% 떨어진 배럴당 75.96달러를 기록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OPEC 회원국인 앙골라는 추가 감산을 거부하고 현재 수준의 생산량을 유지하겠다고 했다. 에스테바오 페드로 앙골라 OPEC 총재는 블룸버그에 "우리는 OPEC이 결정한 할당량 이상으로 생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WSJ은 나이지리아와 UAE도 추가 감산을 탐탁지 않았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비전2030' 추진을 위한 막대한 예산 확보가 필요한 사우디가 OPEC+의 추가 감산을 주도하며 산유국 간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고 짚었다. 골드만삭스는 사막에 거대 신도시 '네옴시티'를 건설하는 등 야심 찬 국가 구조개혁 프로그램에 착수한 사우디가 재정적자를 피하려면 국제유가가 최대 배럴당 88달러를 유지해야 하고, 이를 위해 사우디가 추가 감산에 나서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남미 산유국 브라질이 내년부터 OPEC+에 합류한다. 알렉산드르 실베이라 브라질 에너지 장관은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대통령이 2024년 1월부터 OPEC+ 가입을 확정했다"고 했다. WSJ에 따르면 브라질은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산유량을 늘리고 있다. 올해 3분기에는 하루 231만8000배럴을 생산했다.

베스트 클릭

  1. 1 "정준영은 어둠의 자식"…과거 절친 인터뷰 재조명
  2. 2 "지하철서 지갑 도난" 한국 온 중국인들 당황…CCTV 100대에 찍힌 수법
  3. 3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4. 4 괴로워하는 BTS 진…'기습뽀뽀' 팬, 결국 성추행 고발 당했다
  5. 5 BTS 진에 '뽀뽀' 시도한 비매너 팬…"엄연한 성추행" 아미 분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