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올인에 자동화 빨라지는 中…일자리 절반 사라진다?

머니투데이 베이징(중국)=우경희 특파원 | 2023.11.30 06:31

맥킨지 "2030년 中 일자리 절반, 2050년엔 90%가 자동화"

중국 대표적 이차전지 기업 CATL이 공개한 한 생산기지 내부모습.
중국이 AI(인공지능) 개발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붓는 가운데 빠르게 이뤄질 공정자동화가 오히려 실업을 부채질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050년이면 일자리 수의 절반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오히려 첨단기술 개발이 청년층에 좋은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와 AI 투자의 일자리 유불리를 놓고 현지 해석이 엇갈린다.

29일 중국 현지언론들은 미국 컨설팅업체 맥킨지앤컴퍼니를 인용, "중국 기업들이 AI 관련 향후 10년간 한 해 수조달러에 이르는 막대한 투자를 준비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 경제 성장의 전략적 동력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맥킨지 수석파트너 겸 중화권사무소장 조 응아이는 "1년여 전 챗GPT가 등장한 이후 생성형(제너레이티브) AI는 가장 중요한 연구분야 중 하나가 됐다"며 "중국 기업들이 불확실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새로운 영역에 진출하면서 AI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21년 AI를 양자(量子)과학, 반도체 등과 함께 7대 프론티어 기술로 꼽고 투자하고 있다. 특히 AI는 7대 기술 중에도 우선순위가 높다. 중국 정부가 경기부진 속에서도 재원을 집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역시 맥킨지 수석파트너 바이올렛 정은 최근 한 언론 행사에서 "생성형 AI는 전통적 AI와 고급 분석기술을 기반으로 중국에서 매년 2조달러(약 2582조원) 상당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맥킨지는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중국 내 일자리의 절반 이상이 자동화할 것이며 2050년엔 자동화율이 90%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정부의 신기술 중심 투자 전략은 이미 확고하다. 중국 경제는 코로나19(COVID-19) 팬데믹이 종료된 후 리오프닝(재개방)을 통한 경기회복이 기대됐으나 부동산 직격탄을 맞아 휘청이고 있다. 대대적 경기부양책이 필요하다는 각계의 제언에도 불구하고 중국 정부는 요지부동이다. 부동산엔 더이상 돈을 쓰지 않겠다는 거다.

현지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기존 경제주체들을 회복시키기 위한 투자보다는 신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쪽으로 방향을 정했다고 본다. AI는 중국 정부가 반복해 강조하는 '새로운 기둥(pillar)'의 핵심이다.

중국 정부는 특히 세계 주요국 중 가장 먼저 생성형 AI 모델에 대한 규정을 발표했다. 이는 챗GPT 유형의 서비스가 중국에서 출시되는 것을 통제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지만 관련 법령이 마련되는건 향후 더 빠른 속도로 정부 지원이 이뤄질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문제는 AI가 빠르게 공정을 자동화할 경우 지금도 심각한 중국 실업문제가 더 빠르게 사회 전반에 확산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인민은행 총재를 지낸 북경대 이강 교수는 최근 기고를 통해 "AI가 인간 노동자를 대체하기 시작하면서 노동수요와 공급 간 구조적 불일치가 앞으로 지속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청년실업 문제는 말 그대로 시한폭탄이다. 중국 정부가 마지막으로 공개한 지난 6월 청년실업률은 21.3%다. 이후엔 아예 공개되지 않는다. 중국 학계에선 중국 실질 청년실업률이 지난 3월에 이미 46.5%로 50%에 육박했다는 분석 결과도 나온다.

실업은 가계 가처분소득 축소로 이어진다. 가뜩이나 디플레이션(장기 물가침체로 인한 경기부진) 우려가 커지는 중국이다. 내수소비의 가장 큰 주체인 가계에 돈이 없어지면 경기를 회복할 방법이 요원하다.

반면 첨단기술 개발이 청년실업률 문제 해결의 열쇠가 될거라는 전망도 나온다. 류사오광 런민대 교수 등 현지 경제학자들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지난 5년간 첨단산업 성장률과 청년실업률의 상관관계를 보면 첨단산업 성장률이 떨어질 때 청년실업률이 치솟았다"며 "청년실업 문제 해결과 중국의 장기적 과학기술 발전 토대 마련을 위해 첨단산업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업 등 사회문제에 미칠 여파를 놓고 의견이 엇갈리지만 중국 정부의 AI산업 육성 의지는 매우 강하다. 미국이 중국 기업의 미국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 접근 제한을 본격화하면서 중국의 행보도 더 빨라지는 분위기다. 미국은 중국 AI기술 발전에 따라 지적재산권(IP)이나 개인정보 보호 면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중국 기업들을 견제하고 있다.

조 응아이 소장은 "중국 기업들은 데이터 환경 면에서 효과적으로 성장해 왔다"며 "AI와 디지털화 면에서 중국 기업들은 조만간 두각을 나타낼 것"이라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음주 뺑소니' 후폭풍…끈끈하던 개그 선후배, 막장소송 터졌다
  2. 2 "1.1조에 이자도 줘" 러시아 생떼…"삼성重, 큰 타격 없다" 왜?
  3. 3 '나혼산'서 봤는데…'부자언니' 박세리, 대전 집 경매 넘어갔다
  4. 4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
  5. 5 피자·치킨 20인분 배달가니 "안 시켰다"…후불 '음식테러' 한 사람 정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