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은 연봉 적잖아" 외면…'고용 훈풍' 비켜간 청년들

머니투데이 세종=유선일 기자 | 2023.11.15 15:34

고용 훈풍에도 청년·제조업 일자리는 '칼바람'

[용인=뉴시스] 김종택기자 = 8일 경기도 용인시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에서 열린 하반기 일자리 박람회 '청년 잡페어(JOB FAIR)를 찾은 방문객들이 채용게시대를 살펴보고 있다. 2023.11.08.
고용 훈풍이 '청년'과 '제조업'을 비껴간다. 전체 취업자 수는 32개월째 증가한 반면 청년과 제조업 취업자는 각각 12개월, 10개월 연속 줄었다. 고용 호조 전망은 낙관적이다. 하지만 청년·제조업 일자리 시장은 한겨울에서 벗어나기 힘들 것이란 우려가 크다.


청년·제조업 취업자 '감소세' 계속


올 한해 주요 경제지표 악화 속에서도 고용 부문은 호조세를 이어갔다. 지난달만 해도 역대 최고의 고용률(63.3%), 역대 최저의 실업률(2.1%)을 기록했다. 정부는 "견조한 고용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고용 훈풍이 닿지 않는 곳이 있다. 청년과 제조업 부문이다. 만 15~29세 청년층 취업자 수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12개월 연속 감소(전년동월대비)했다. 전체 취업자 수가 2021년 3월 이후 32개월 연속 증가한 것과 대비된다.

주요 원인으로 '청년 인구 감소'가 꼽히지만 이것만으로는 설명이 안 된다. 인구 변화를 반영한 지표인 청년 고용률이 8월 47%, 9월 46.5%, 10월 46.4%로 점차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년동월대비 청년 고용률 증감을 살펴보면 지난 2월부터 9월까지 8개월째 마이너스 흐름을 보였고 지난달엔 보합(0%p)을 기록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5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안정적인 일자리 중심으로 고용 개선이 지속되고 있다"면서도 "일부 청년의 경우 여전히 원하는 일자리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노동시장 밖에 머물고 있어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제조업 상황도 비슷하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10개월 연속 감소했다. 지난 2020년 3월부터 2021년 3월까지 13개월 연속 줄어든 이후 최장 기간 감소다. 제조업 취업자 감소폭 추이를 살펴보면 △7월 3만5000명 △8월 6만9000명 △9월 7만2000명 △10월 7만7000명 등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전망도 '우울'…'쉬는 청년' 근본 해결책 "아쉬워"


향후 고용은 전반적으로 호조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많다. 지난달 수출이 13개월 만에 증가 전환하는 등 경기 개선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어서다.

정부는 "돌봄수요 확대 지속 등으로 보건복지업 등 서비스업 중심 취업자 수 증가가 지속되고 고용률·실업률도 견조한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며 "일본 등 전체 방한객 회복, 중국 방한객 지속 유입 등은 도소매업 등 대면 서비스업 취업자 수 증가에 있어 긍정적 요인"이라고 밝혔다.


반면 청년·제조업 일자리는 '한파'가 계속될 우려가 크다. 제조업의 경우 최근의 경기 개선세가 고용에 영향을 미치기까지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기저효과 영향으로 연내 제조업 취업자 수가 증가세로 전환되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청년 고용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다. 정부는 청년 고용 지표 악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쉬었음' 청년의 증가를 꼽고 이들을 노동시장에 유입시키기 위한 1조원 규모 대책을 내놨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청년 '쉬었음' 인구는 월평균 41만명으로 전체 청년 인구의 5% 수준이다. 2010년대 초반 청년 '쉬었음' 인구는 전체 청년 대비 2%대 수준이었지만 10여년 만에 크게 늘었다. 특히 코로나19로 구직난이 심각했던 2020년(44만8000명)에 가장 크게 증가했다. 이후 감소세를 보였다가 올해 들어 다시 늘었다.

그러나 정부도 밝혔듯 '쉬었음' 청년 증가의 주요 원인이 '괜찮은 일자리 부족'과 '노동시장 이중구조' 등인 점에 비춰볼 때 이번 대책으로 근본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재부에 따르면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임금 비중은 2021년 기준 47.3%에 머무는 등 노동시장 이중구조 해소가 요원한 상황이다. 취업 포털 인크루트에 따르면 경력직 위주 채용 기업 비중은 2020년 38.9%에서 2022년 43.6%로 증가하는 등 사회 초년생의 취업 기회가 갈수록 줄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결국 노동시장 미스매치를 해소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인데 이는 청년 고용 전반에 대한 해결책으로 볼 수 있다"며 "이번 대책에서 그런 부분까지 다 담기는 어려웠기 때문에 '쉬었음'에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단독]구로구 병원서 건강검진 받던 40대 남성 의식불명
  2. 2 박지윤, 상간소송 와중에 '공구'는 계속…"치가 떨린다" 다음 날
  3. 3 구형 갤럭시 '무한 재부팅' 난리났다…"업데이트 하지마" 왜?
  4. 4 중국 주긴 아깝다…"통일을 왜 해, 세금 더 내기 싫다"던 20대의 시선
  5. 5 "오빠 미안해, 남사친과 잤어" 파혼 통보…손해배상 가능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