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토류: 위협, 기회, 아니면 통상적 비즈니스?

머니투데이 루카스 베드나르스키 S&P글로벌 수석 애널리스트 | 2023.11.11 06:30

[High-Tech Powers]'배터리 전쟁' 저자 루카스 베드나르스키 고정 칼럼
④희토류: 위협, 기회, 아니면 통상적 비즈니스?


희토류만큼 상상력을 자극하는 원자재도 드물다. 희토류는 케빈 스페이시가 출연한 전설적 TV 시리즈 '하우스 오브 카드'에 등장했다. 희토류를 소재로 한 웨스트엔드 인기 연극 '희토류 메틀(Rare Earth Mettle)'이 제작되기도 했다. 희토류에 관한 읽기 쉬운 논픽션 책도 몇 권 출간돼 베스트셀러 목록에 올랐다.

희토류는 희귀하고 수요가 많으며, 중국이 통제하고 있고, 첨단 기술과 무기에 필수적이며, 지정학적 경쟁의 중심에 있다는 게 공식적으로 알려진 내용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가정 중 몇 가지를 면밀히 살펴보고 검토해 보겠다.

하지만 그 전에 희토류가 무엇인지에 대한 혼란을 먼저 정리해 보자. 너무 자주 다른 많은 물질들이 희토류로 잘못 분류된다. 리튬과 코발트 같은 배터리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는 희토류가 아니다. 이들은 형태에 따라 배터리 재료 또는 화학물질로 분류된다. 따라서 볼리비아 염전과 전기 자동차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 런던 웨스트엔드 연극의 제목에 희토류가 들어가서는 안 된다. 지르코늄(소비량의 90%가 원자력 발전소에 사용됨), 하프늄(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액체 로켓 엔진에 사용됨), 베릴륨(비행기에 사용됨), 갈륨(반도체에 사용됨)과 같은 원소는 첨단 기술 분야에 사용되는 중요 광물이지만 희토류 계열에는 속하지 않는다.

희토류는 란탄, 세륨,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프로메튬, 사마륨(그렇다, 하우스 오브 카드 시나리오 작가가 맞았다), 유로피움과 같은 경(輕)희토류와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홀뮴, 에르븀 등의 중(重)희토류로 나뉜다. 희토류와 중요 광물을 이렇게 구분하는 건 순전히 학문적인 것일까? 물론 그렇지 않다. 희토류와 중요 광물은 전적으로 다른 산업이다. 종종 다른 회사가 운영하고 다른 규정, 추출 및 처리 기술이 적용된다.

이제 희토류가 이름만큼 희귀한 광물인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지각의 희토류 농도를 살펴보면 희토류는 그렇게 희귀하지 않다. 그러나 실제로 경제적으로 수익성이 있는 추출과 정제를 정당화하는 농도를 갖춘 매장지는 그렇게 흔하지 않다. 하지만 브라질, 베트남, 호주, 인도, 버마 등 중국 이외의 국가에서는 충분히 흔하기 때문에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자 한다면 자원 측면에서 기술적으로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브라질과 베트남의 매장량 합이 중국과 거의 비슷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나라의 채굴량은 놀라울 정도로 적다. 주된 이유는 중국이 희토류의 채굴과 가공을 너무 많이 장악하고 있어 수요와 가격을 고려할 때 다른 곳에서 채굴할 경제적 명분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물론 전략적 관점에서는 상황이 다르게 보인다. 한 국가가 중국처럼 전략 물자 공급을 통제하는 것은 좋지 않다. 그러나 업계 전반적으로 볼 때 중국에서 희토류를 더 싸게 구할 수 있다면 중국 밖에서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희토류를 구할 준비는 돼 있지 않다. 앞으로도 그럴 일은 없을 것이다. 물론 다르게 생각하는 기업들도 있지만, 이들은 일반적인 규칙에서 예외적인 곳이 될 것이다.

특히 중국은 희토류가 세계 경제에 공급되는 걸 실제로 방해한 적이 없다. 다소 간접적인 위협이 있었지만 실제로 방아쇠를 당긴 적은 없다. 2010년 9월 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일본 센카쿠 열도 인근에서 중국 트롤 어선이 일본 순시선과 충돌한 사건이 예시로 꼽히곤 한다. 충돌로 인해 중국 선장이 구금됐다. 며칠 동안 중국은 그를 석방하기 위해 전화를 걸었다. 효과가 없자 중국은 회담에서 철수하고 일본으로 가는 희토류에 대한 세관 검사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이 검사는 사실상 희토류의 흐름을 중단시켰다. 일본 시장 참여자들은 다른 곳에서 희토류에 입찰하기 시작했고 가격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았다. 그러나 이 사건을 기억하는 많은 트레이더들은 중국의 간섭 정도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다. 그들은 일본 상인과 소비자들이 패닉에 빠졌고, 언론이 실제보다 더 큰 이야기를 만들어냈다고 생각한다.


사건이 발생한 지 수년이 지난 지금도 일본 업계에는 이 사건에 대한 집단적 기억이 남아 있다. 희토류의 중국 의존도를 크게 낮추고 채굴은 호주, 가공은 말레이시아로 다변화하는 데 성공한 유일한 국가가 바로 일본이다. 이러한 다변화를 가능하게 한 회사 인 라이너스(Lynas)는 일본 파트너로부터 많은 투자를 받았다. 이는 민간 업계가 기꺼이 자금을 지원한다면 중국 희토류 공급으로부터 탈피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사례다. 문제는 일본 이외의 지역에서는 실제로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희토류의 또 다른 문제점은 광석에서 희토류를 분리하는 것이 어렵고 에너지 집약적이며 환경에 해롭다는 점이다. 이 과정에서 강산(strong acids)이 사용된다. 또한 희토류를 채굴하는 광물 중 일부는 토륨과 같은 방사성 원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중희토류와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거의 전량 중국에서 생산된다.

각국 정부는 중국의 희토류 의존도 문제를 인정하고 있다. 미국 정부 및 유럽연합 기관들은 여러 차례 이 문제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논의했다. 기술과 노하우는 서구에 있다. 1952년부터 2002년까지 미국은 마운틴 패스에서 대규모 희토류 광산을 운영했다. 이곳에서 채굴되고 가공된 원소는 냉전 경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90년대까지 이 광산은 전 세계 희토류의 주요 공급원이었지만 점차 내몽고에서 중국의 경쟁에 밀리면서 파산하기 시작했다. 이후 이 광산은 부활했고, 일본 위기의 여파로 가격이 상승하는 환경에서 잠시 호황을 누렸다. 그러나 곧 중국과의 경쟁에서 밀리면서 결국 중국 업체에 인수되어 생산량을 모두 중국으로 보내 처리했다.

이제 다시 마운틴 패스에서 채굴 활동이 이뤄지고 있다. 미국은 국방부 및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희토류 산업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미중 첨단 기술 경쟁 시대에 미국이 희토류 공급을 일부라도 내부적으로 유지하는 게 합리적일 것이다. 오랫동안 희토류 거래는 일상적인 사업이었다. 우리는 운 좋게도 공급망에 큰 혼란이 없는 세계화 시대에 살았다. 앞으로는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고, 희토류의 무기화가 자기 성취 예언으로 바뀔 수 있다.

*필자 소개: 루카스 베드나르스키(Lukasz Bednarski)는 금융서비스 기업 S&P글로벌에서 리튬 등 배터리 관련 금속을 담당하는 수석 애널리스트다. 하이테크 공급망 전문가이자 전 희토류 금속 거래자이며 '배터리 전쟁:리튬부터 2차 전지까지, 누가 새로운 경제 영토를 차지할 것인가' 등으로 알려진 베스트셀러 작가다.

*이 칼럼에서 표현된 견해와 의견은 전적으로 필자 개인의 것이며 소속회사의 것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필자와는 Twitter에서 @LithiumResearch를 팔로우하거나 hitechcolumn@gmail.com으로 연락할 수 있습니다.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2. 2 김호중 '음주 뺑소니' 후폭풍…끈끈하던 개그 선후배, 막장소송 터졌다
  3. 3 "1.1조에 이자도 줘" 러시아 생떼…"삼성重, 큰 타격 없다" 왜?
  4. 4 빵 11개나 담았는데 1만원…"왜 싸요?" 의심했다 단골 된 손님들
  5. 5 한국 연봉이 더 높은데…일 잘하는 베트남인들 "일본 갈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