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표밭' 美오하이오, 낙태권 헌법 명시…바이든 '환호'

머니투데이 김종훈 기자 | 2023.11.08 15:53

바이든 "마가 공화당원, 극단적 낙태 반대 정책…미국인 대다수 뜻 아냐" 트럼프 저격

낙태권 찬성론자들이 7일(현지시간) 오하이오 개헌안 주민투표 결과 낙태권 보장을 명시하는 개헌안 통과가 유력하다는 소식에 환호하고 있다./로이터=뉴스1
앞서 두 번의 대통령 선거에서 도널드 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밀었던 오하이오가 주 헌법에 낙태권 보장을 명시할 것으로 보인다. 낙태권 보장을 주장하는 민주당은 이번 투표로 내년 대선에 힘을 받게 됐다며 결과에 환호하고 있다.

AP통신 집계에 따르면 오하이오 주 헌법에 낙태권 보장을 명시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개헌안이 7일(현지시간) 주민투표 결과에 따라 통과될 전망이다. 통신에 따르면 한국시간 오후 3시40분 기준 찬성 56.35%, 반대 43.65%로 집계됐다. 정식 결과는 3주 뒤 공개된다.

이로써 오하이오 주 헌법에 "낙태를 포함해 임신에 관한 의료적 처치를 받을 권리"가 명시되며, 오하이오는 로 대 웨이드 판결 폐기 이후 낙태권 보장을 결정한 7번째 주가 될 전망이다.

지난해 11월 미국 중간선거에서 캘리포니아, 미시건, 버몬트 등이 주 헌법에 낙태권 보장을 명시하기로 한 바 있다. AP통신에 따르면 내년에는 애리조나, 미주리 등지에서도 주민투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출구조사 결과에 대해 조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인들은 다시 한 번 기본권 수호에 표를 던졌으며 민주주의가 또 승리했다"고 백악관을 통해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오하이오를 포함해 전국 유권자들은 극단적 낙태 금지 정책을 실시하려는 '마가'(MAGA) 공화당원들을 가로막았다. 이 정책은 미국인 다수의 뜻과 어긋난다"며 트럼프 전 대통령을 겨냥했다. 마가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유세 구호인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의 앞글자를 따서 만든 단어다.

폴리티코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6월 낙태권 폐지 판결 1주년 기념행사에서 "모든 아이는 신의 신성한 선물"이라며 낙태권 보장 반대 입장을 보였다. 같은 날 바이든 대통령은 "1년 전 오늘 대법원은 미국인의 헌법적 권리를 박탈했다"고 했다.


오하이오 주는 2016년, 2020년 대선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 편에 섰다. 미국 대선은 주민들이 선거인단을 직접 선출하면 선거인단이 대통령을 뽑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오하이오 주민들이 선출한 선거인단 18명은 2016년, 2020년 모두 트럼프 전 대통령 쪽에 표를 던졌다. 두 번의 대선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을 밀었던 오하이오가 낙태 찬성 편에 서자 민주당은 환호하는 분위기다.

헤더 윌리엄스 민주당 선거위원회 임시위원장은 "커다란 승리"라며 "오하이오의 개헌 지지로 민주당의 우선순위를 재확인했다"고 했다. 이어 "임신에 관한 권리는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강력한 메시지가 공화당에 전달됐을 것"이라고 논평했다.

AP통신은 "올해는 중요 선거가 없었던 해"라며 "이번 선거가 내년 대선의 전조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민주당은 낙태권 문제가 유권자들을 움직여 바이든 대통령의 연임을 도울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낙태권 문제가 계속 반향을 일으킨다면 민주당에 호재가 될 수 있다"고 했다.

미국 연방대법원은 1973년 로 대 웨이드 판결을 통해 낙태권도 헌법이 보장하는 권리라고 판단했다. 그러나 지난해 연방대법원은 이 판결을 뒤집고 낙태권은 헌법의 보호대상이 아니라고 판결했다. 이후 낙태권을 헌법상 권리로 인정해야 하는지 여부를 두고 미국 사회 각계에서 논쟁이 이어졌다. 판결 후 미 국방부는 낙태 시술을 받으려는 여군에게 시술이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할 비용 및 휴가를 지급하겠다는 정책을 밝혔다. 이에 공화당 토미 튜버빌 의원은 군이 낙태를 지원하는 말이 안 된다며 군 장성 인준 절차를 지연시키고 있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
  5. 5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