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자회사 지분 팔고 2000명 인력감축…산업용 전기료 인상 검토

머니투데이 세종=최민경 기자 | 2023.11.07 15:03
(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 13일 서울 중구 한국전력공사 서울본부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한국전력공사가 추가 자구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이미 25조원 이상의 자구책을 발표하고, 추진하고 있지만 전기요금 인상 조건으로 정부와 정치권 모두 추가 자구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한전은 지난 6월말 연결 기준 총부채는 201조4000억원으로 사상 처음으로 200조원을 넘겼다. 이에 따른 이자비용은 하루 평균 70억원, 한 달로 환산하면 2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며 전기요금 인상이 시급한 실정이다. 2023.10.13/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한국전력이 한전KDN, 한전원자력원료 등 자회사 지분을 민간에 매각한다. 희망퇴직도 받는다. 자구안 발표 후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을 추진한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전은 한전KDN, 한전원자력원료, 한국전력기술 등 자회사의 지분 일부를 민간에 매각하고 2000명을 감원하는 내용을 추가 자구안으로 마련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5월 내놓은 25조원 규모 자구안에 이은 2차 자구안이다.

한전은 한전KDN과 한전원자력연료의 지분을 사실상 100% 보유하고 있다. 주식시장에 상장된 한국전력기술의 지분은 67.8% 보유 중이다. 지난해 8월 발표된 한전의 '재정 건전화 계획'에서도 한국전력기술 지분 중 '경영권 확보와 무관한 잔여 지분 14.77% 매각'이 포함됐다.

전력시스템을 통합·운영하는 자회사인 한전KDN은 비상장 회사지만 한전은 한전KDN을 주식시장에 상장해 지분 20%를 공개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한전은 희망퇴직 시행 등의 내용이 담긴 조직·인력 효율화 방안도 발표했다. 희망퇴직이 진행되면 창사 이래 두 번째다.

아울러 한전은 핵심사업 중심으로 조직을 개편한다. 조직 내 유사 기능을 통합하고 비핵심 기능은 축소하는 등 본사 조직을 축소하고 사업소 조직을 단계적으로 효율화한다. 이를 통해 확보한 인력을 신사업·신기술, 신재생·원전 수출 등 핵심업무 위주로 재배치한다는 계획이다.


정부 여당은 한전은 자구안을 검토한 뒤 전기요금 인상을 추진한다. 방문규 산업통상부장관은 '선 구조조정, 후 요금조정' 방침을 줄곧 강조해왔다. 당정은 가정용과 소상공인용 전기요금은 유지하고 전체 전기 수요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산업용 전기요금만 인상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논의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산업용은 광업·제조업 및 기타 사업에 적용되는 요금으로 계약 전력 300kW(킬로와트) 이상이 대상이다. 지난해 한전 산업용 전기 판매량은 전체의 54%를 차지했고 주택용은 15%, 소상공인 등이 쓰는 일반용은 23%였다.

정부여당은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가정용·소상공인용 전기요금 인상이 서민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산업용 요금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도 못 미치는 등 그간 국제 기준 대비 낮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최근 미국 정부가 한국의 값싼 전기요금이 사실상 정부 보조금에 해당한다며 한국산 철강 제품에 상계관세를 부과하는 최종 판정을 내린 것도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의 명분이 될 수 있다.

한편 한전의 지난 6월말 연결 기준 총부채는 201조4000억원으로 사상 처음 200조원을 넘겼다. 증권가 등에선 한전이 3분기에 1조원대 영업이익을 낼 것으로 관측하지만 국제 에너지 가격이 오르면서 3분기 단발성에 그칠 확률이 높다. 연말에 사채발행 한도 문제에 다시 직면할 가능성도 커지면서 전기요금 인상 압박이 커지고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지하철서 지갑 도난" 한국 온 중국인들 당황…CCTV 100대에 찍힌 수법
  2. 2 "정준영은 어둠의 자식"…과거 절친 인터뷰 재조명
  3. 3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4. 4 괴로워하는 BTS 진…'기습뽀뽀' 팬, 결국 성추행 고발 당했다
  5. 5 한국 연봉이 더 높은데…일 잘하는 베트남인들 "일본 갈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