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도 모여 "AI 위험 막자" 첫 공동선언…2회 회의는 韓서

머니투데이 정혜인 기자 | 2023.11.02 11:03

영국 블레츨리서 '제1회 AI 안전 정상회의' 개최,
각국 지도자 및 당국자·기술 업계 수장 등 참석…
선언문 냈지만 정부정책 등 구체적인 방안 빠져,
위험평가 등 회의 참석 각국·업계 의견도 엇갈려

1일(현지시간) 영국 정부의 주최로 버킹엄셔 블레츨리파크에서 각국 지도자 및 당국자, 기술업계 수장 등이 참석한 '제1회 AI 안전 정상회의'가 개최됐다. 유럽연합(EU), 미국, 중국, 한국 등 28개국은 AI 기술 안전 관련 협력에 합의한다는 '블레츨리 선언'을 발표했다. /AFPBBNews=뉴스1
한국을 비롯해 유럽연합(EU), 미국, 중국 등 28개국이 모여 인공지능(AI)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생길 수 있는 위험을 억제하기 위한 협력을 선언했다.

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AP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영국 버킹엄셔 블레츨리파크에서 열린 '제1회 AI 안전 정상회의'에서 28개국은 AI 기술 안전 관련 협력에 합의했다는 내용이 담긴 첫 공동선언문 '블레츨리 선언'을 발표했다.

'AI 안전 정상회의'는 AI 기술의 안전한 개발 등을 논의하기 위해 올해 영국에서 처음 개막한 국제회의로, 각국 지도자들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등 기술업체 수장 등이 참석했다. 차기 회의는 한국(화상 방식)과 프랑스에서 각각 6개월 간격으로 열릴 예정이다. 지난해 생성형 AI 모델 '챗GPT' 출시로 AI 기술 개발에 속도가 붙자 일자리 축소·허위정보 확산·국가안보 위협 등 각종 부작용 발생 우려가 커졌고, 이런 위험 해결 및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블레츨리 선언'에는 AI 기술 발전으로 심각하고 재앙적인 피해 발생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이런 위험은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가장 잘 해결할 수 있다"며 "우리는 인간 중심적이고 신뢰할 수 있으며 책임감 있는 AI 기술 보장을 위해 포용적인 방식으로 협력할 것을 결의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미셸 도닐런 영국 과학기술부 장관은 이날 행사에서 28개국의 '블레츨리 선언' 서명 소식을 알리며 "오늘의 획기적인 선언은 AI 기술의 안전한 발전을 보장해 대중의 신뢰를 구축하려는 세계적인 노력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리시 수낙 영국 총리는 "세계 최고의 AI 강국들이 AI의 위험성을 이해해야 한다는 시급성에 동의하고, 우리 자녀와 손주들의 장기적인 미래를 보장하는 데 도움을 주는 획기적인 성과"라고 평가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1일(현지시간) 영국에서 열린 제1회 인공지능(AI) 안전 정상회의에 참석해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로이터=뉴스1
BBC는 이번 회의 주최국인 영국이 AI 기술 위험성 관리 방법에 대한 세계 최초의 합의를 발표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뉴욕타임스(NYT)는 "선언문에는 (AI 기술 위험 억제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 목표를 설정하는 데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FT는 28개국의 공동선언 발표에도 회의 참석자들이 AI 위험성 통제에 상반된 입장을 내놨다고 짚었다.

머스크 CEO는 "인간이 처음으로 '우리보다 훨씬 더 지능적인 존재'와 마주했다"며 AI를 '실존적 위험'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그런 일을 통제할 수 있을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인류에게 유익한 방향으로 인도하기를 열망할 수는 있다고 생각한다"며 AI 개발업체를 감독하고, 우려 사항이 있을 경우 이를 알릴 수 있는 '제3자 심판(third-party referee)' 즉 독립적인 평가기관을 설립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그는 회의 참석에 앞서 한 팟캐스트에 출연해 '극단적인 환경주의자'에 의한 첨단 AI 개발의 위험성을 강조하며, 그 경우 지구 보호를 위해 인류를 멸망시키는 쪽으로 AI가 오용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반면 메타플랫폼의 닉 클레그 글로벌 담당 사장은 AI에 대한 세계의 우려를 1980년대 비디오 게임에 대한 '도덕적 공황'에 비유하며 AI가 인류에 미치는 위험이 "과대평가 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AI 위험성을 이유로 별도의 법안을 마련해 기술업계를 관리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공동선언문에 서명한 국가도 서로 다른 의견을 내놨다.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은 AI가 이미 촉발한 변화를 언급하며 기술업체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 있는 법 마련이 필요하다며 영국과 다른 국가에 보다 적극적이고 장기적 관점에서의 대응을 촉구했다. 중국 AI 과학자들은 영국, 미국, EU가 제안한 것보다 더 엄격한 기술 규제를 요구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음주 뺑소니' 후폭풍…끈끈하던 개그 선후배, 막장소송 터졌다
  2. 2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3. 3 "1.1조에 이자도 줘" 러시아 생떼…"삼성重, 큰 타격 없다" 왜?
  4. 4 '나혼산'서 봤는데…'부자언니' 박세리, 대전 집 경매 넘어갔다
  5. 5 피자·치킨 20인분 배달가니 "안 시켰다"…후불 '음식테러' 한 사람 정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