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가 경기 회복 '불씨'…아쉬운 소비 회복, 중동분쟁도 변수

머니투데이 세종=유선일 기자 | 2023.10.31 11:30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3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9월 산업활동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지난달 전(全)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은 전월보다 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10.31.
9월 우리나라 생산·소비·투자가 일제히 늘어나는 '트리플 증가'를 기록하며 경기 회복 기대가 커졌다. 반도체 업황 개선 영향이 크다. 그러나 소비 회복이 상대적으로 완만하고 건설 수주가 부진해 경기 회복세를 장담하기 어렵다. 격화하는 중동 분쟁도 경기 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생산·지출 전 부문 '증가'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산업생산(1.1%), 소매판매(0.2%), 설비투자(8.7%)가 전월 대비 일제히 증가했다.

생산·소비·투자 지표가 일제히 늘어나는 '트리플 증가'를 기록한 것은 지난 5월 이후 4개월 만이다.

경기 회복세를 기대할 수 있는 세부 지표가 곳곳에서 발견된다.

생산의 경우 4대 부문(광공업·서비스업·공공행정·건설업)이 지난달에 이어 두 달째 증가했다. 생산 4대 부문의 2개월 연속 증가는 2016년 2~3월 이후 90개월 만이다. 반도체 생산이 8월(13.5%)에 이어 9월(12.9%)까지 두 달째 10% 이상 증가한 것이 눈에 띈다. 반도체 장비를 포함한 기계장비 생산도 같은 기간 각각 9.4%, 5.1% 증가했다.

지출 부문인 △소매판매(0.2%) △설비투자(8.7%) △건설기성(2.5%)도 일제히 증가했다. 생산과 지출 전 부문의 증가는 2020년 6월 이후 39개월 만이다.

기획재정부는 이런 지표와 관련해 "최근 수출 개선 흐름과 함께 경기 반등 조짐을 뒷받침 한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또 "GDP 속보지표(전분기 대비 0.6% 성장)로 3분기 회복세를 확인했고 9월까지 산업활동 지표 회복세가 확대됐으며 10월 수출은 플러스 전환이 전망된다"며 "4분기에도 경기 개선 흐름 지속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했다.



소비 회복 완만...중동 분쟁 '변수'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가 29일 서울 종로구 총리공관에서 열린 고위당정협의회에 앞서 추경호 부총리와 대화하고 있다.(공동취재사진) 2023.10.29.
소비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은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전월대비 소매판매 증가율은 7월(-3.2%)과 8월(-0.3%) 감소세를 보이다 9월 겨우 증가(0.2%)로 돌아섰다. 전년동월대비로는 7월(-1.7%), 8월(-4.7%), 9월(-1.9%)까지 석 달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분기별로 봤을 때 지난 3분기 민간소비는 전분기 대비 0.3% 증가에 그쳤다.

기재부 관계자는 "코로나19(COVID-19)가 한창일 때 재화 소비가 크게 늘었고 이후 방역이 풀리면서 지금은 서비스 소비로 전환이 이뤄지는 상황"이라며 "소비 전반이 안 좋다고 말하긴 어렵지만 고물가·고금리 영향으로 다른 부문에 비해 소비 회복세가 상대적으로 완만하다"고 말했다.

건설수주도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9월 건설수주는 주택 등 건축(-54.8%), 기계설치 등 토목(-2.4%)에서 수주가 모두 줄어 전년동월대비 44.1% 감소했다.

향후 우리나라 경기 회복에 있어 가장 큰 변수로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와 이스라엘 간 분쟁이 꼽힌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지난 30일(현지시간) "(휴전은) 하마스, 테러에 항복하는 것"이라며 전쟁이 계속될 것임을 시사했다.

기재부는 경기 전망과 관련해 "생산 측면에서는 최근 수출 개선 흐름, 미국 경제의 견조한 회복세, 외국인 관광객 입국 증가 등이 긍정적"이라면서도 "중동 지역 긴장 고조와 국제 유가 변동성 확대, 주요국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 등이 부담"이라고 했다.

기재부는 "소비·투자는 양호한 고용상황과 누적된 가계 저축, 주요국과의 활발한 정상외교에 따른 투자 협력 등이 상방요인"이라며 "건설수주 부진과 가계부채 부담이 이어지는 가운데 대내외 물가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점은 하방요인"이라고 밝혔다.

베스트 클릭

  1. 1 태국 보트 침몰 순간 "내리세요" 외친 한국인 알고보니…
  2. 2 경매나온 홍록기 아파트, 낙찰돼도 '0원' 남아…매매가 19억
  3. 3 "아이고 아버지! 이쑤시개 쓰면 안돼요"…치과의사의 경고
  4. 4 민희진 "뉴진스, 7년 후 아티스트 되거나 시집 가거나…"
  5. 5 "김호중, 징역 3년 이상 나올 듯…바로 합의했으면 벌금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