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이달 중 자구안 이행점검·인력 감축안 발표…재원 마련 관건

머니투데이 세종=최민경 기자 | 2023.10.16 16:42
(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 13일 서울 중구 한국전력공사 서울본부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한국전력공사가 추가 자구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이미 25조원 이상의 자구책을 발표하고, 추진하고 있지만 전기요금 인상 조건으로 정부와 정치권 모두 추가 자구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한전은 지난 6월말 연결 기준 총부채는 201조4000억원으로 사상 처음으로 200조원을 넘겼다. 이에 따른 이자비용은 하루 평균 70억원, 한 달로 환산하면 2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며 전기요금 인상이 시급한 실정이다. 2023.10.13/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한국전력공사가 47조원이 넘는 누적 적자를 해소하기 위한 추가 자구책으로 인력 감축 등을 검토하고 있다.

다만 인력 감축에 앞서 희망퇴직 위로금 등 재원을 마련해야 하는데 부동산 자산 매각, 성과급 반납 등 기존 자구책 이행 실적이 부진해 재원 마련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인력 감축을 단행하더라도 난항이 예상된다.

16일 관계 부처 등에 따르면 한전은 이달 내로 지난 5월 내놓은 자구책 이행 실적과 함께 인력 감축 등을 고려한 추가 자구책을 발표한다.

전기요금을 인상하기 앞서 한전의 뼈를 깎는 구조조정이 있어야 한다는 여권 등의 주문에 따른 것이다.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수차례 요금 조정 전에 '정원 검토' 등을 포함한 구조조정을 강조했다.

김동철 한전 사장 역시 지난 4일 '2~3주 후 추가 자구책' 발표를 언급하며 "한전이 지금까지 해왔던 어떤 조직규모, 인력효율화보다 상상할 수 없었던 이야기들을 생각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 5월 내놓은 자구안에 △자산 매각 및 임대사업 △임금 동결 △전력설비 건설 이연·조정 △경상경비 절감 등 사실상 대부분의 자구노력이 포함된 만큼 사실상 '희망퇴직' 등 인력 감축 외엔 새로 내놓을 수 있는 카드도 없다.

한전은 15개 지역본부와 234개 지사를 주요 거점 도시 중심으로 조정하는 '업무 광역화'도 추진하기로 했는데 이 역시 희망퇴직과 병행될 것으로 보인다.

희망퇴직은 창사 이래 두 번째다. 한전은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9~2010년에도 두 차례에 걸쳐 공공기관 선진화 계획에 따른 희망퇴직을 단행했다.


문제는 재원 마련이다. 이명박 정부 시절엔 1차로 273명, 2차로 147명 등 총 420명의 인원을 감축했으며 성과급 반납을 통해 퇴직자 위로금 재원을 마련했다. 당시 한전은 인당 평균 7000만원 수준의 위로금을 지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에도 1차 자구안에 포함된 올해 임금 인상분 반납 금액을 활용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간부직 약 5700명이 임금 인상분 반납 대상으로 이를 위해선 노조와 협의가 선행돼야 한다.

그러나 노조 조합원 수가 전체의 78%를 차지하는 한전 조직 특성상 노조와의 협의가 쉽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 노조는 희망퇴직이 진행될 경우 인건비에서 희망퇴직 재원을 마련하는 방안을 반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25조7000억원 규모의 기존 자구안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핵심 자산 매각도 제대로 진행되지 않아 현재로선 재원을 마련할 뾰족한 묘수가 없다.

'알짜 부동산'인 여의도 소재 남서울본부는 변전소 이전 문제로 매각이 지연되고 있다. 해당 부지에 위치한 변전소를 통해 여의도 일대 전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여의도가 아닌 지역으로의 이전은 불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변전소를 이전하지 않고 매각할 경우 개발에 한계가 있어 가격이 하락할 수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일부 네 개 사업소 매각은 있었지만 한전 남서울본부 매각과 한전아트센터 3개층 임대 사업 등 큼직한 자구책 이행은 계속 지지부진한 상황"이라며 "조만간 기존에 발표한 자구책 이행 평가와 함께 추가 자구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지하철서 지갑 도난" 한국 온 중국인들 당황…CCTV 100대에 찍힌 수법
  2. 2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3. 3 "1.1조에 이자도 줘" 러시아 생떼…"삼성重, 큰 타격 없다" 왜?
  4. 4 빵 11개나 담았는데 1만원…"왜 싸요?" 의심했다 단골 된 손님들
  5. 5 한국 연봉이 더 높은데…일 잘하는 베트남인들 "일본 갈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