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에 밀리니 영화관도 안팔린다...올 상반기 거래 '단 1건'

머니투데이 남미래 기자 | 2023.09.26 10:45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과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성장으로 영화 시장이 크게 위축되자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서 영화관도 찬밥 신세로 전락했다. 올 상반기 영화관 매매건수가 단 1건에 그치는 등 사실상 '거래절벽'에 빠진 상태다.

영화관 거래가 반등하기 위해선 프리미엄 상영관 확대와 용도 전환을 통해 소비자에게 새로운 공간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상업용 부동산 종합 서비스 기업 알스퀘어에 따르면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서 영화관 거래는 엔데믹 전환에도 예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영화관 목적의 거래 규모는 64억원을 기록했다. 거래 건수도 '인천 CGV 주안역' 단 1건에 그쳤다. 팬데믹 이전인 2019년 거래 규모가 3347억원, 팬데믹을 겪던 2021년에는 506억원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사실상 거래 가뭄이다.

영화관 투자수익률 지표인 캡 레이트(Cap. Rate)는 팬데믹과 금리 상승 영향으로 2019년 5.38%에서 2022년 6.56%까지 상승했다. 통상 캡 레이트는 매매가와 반비례 관계다.

최규정 알스퀘어 리서치센터 연구원은 "영화관 투자시장은 올해도 큰 이변이 생기지 않는다면 거래량이 저조할 것으로 예상되며 반등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영화관 산업이 반등하기 위해선 영화적 경험을 위한 차별화 콘텐츠와 용도 전환, 식음료(F&B) 다각화 등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알스퀘어가 영화진흥위원회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상반기 특수상영(3D·4D·아이맥스 등) 매출액은 790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48.6% 증가했다.

CGV 상영관에서 콘서트나 오페라, 스포츠 등을 상영하는 '얼터너티브 콘텐츠' 관람객은 2021년 21만명에 그쳤지만 올해는 1분기에만 37만1000명으로 급증했다.

골프연습장과 클라이밍 짐, F&B 브랜드 플래그십스토어 등으로 영화관 공간을 활용하는 방안과 F&B 브랜드와 협업을 통해 새로운 메뉴를 개발해 매점 수익성을 강화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최규정 연구원은 "엔데믹 이후에도 영화관 산업은 빠르게 회복하지 못하고 있지만, 소비자에게 경험 가치와 공간 가치를 적극적으로 제공한다면 현재 어려운 상황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콘서트 취소하려니 수수료 10만원…"양심있냐" 팬들 분노
  2. 2 이 순대 한접시에 1만원?…두번은 찾지 않을 여행지 '한국' [남기자의 체헐리즘]
  3. 3 11만1600원→44만6500원…미국 소녀도 개미도 '감동의 눈물'
  4. 4 [영상] 가슴에 손 '확' 성추행당하는 엄마…지켜본 딸은 울었다
  5. 5 '100억 자산가' 부모 죽이고 거짓 눈물…영화 공공의적 '그놈'[뉴스속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