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철 한전사장 "전기요금 정상화 반드시 필요…제2창사 각오해야"

머니투데이 세종=조규희 기자 | 2023.09.20 13:29
김동철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20일 전남 나주 한전 본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전기요금 정상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사진제공=한국전력공사
김동철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취임 일성으로 전기요금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47조원의 누적 적자 해소의 근본적 해결방안으로 협력업체 연쇄 도산과 전력산업 생태계 붕괴가 예상되는 탓이다. 공기업 보호막 탈피와 국제사업 다각화도 주요 목표로 제시했다.

김 사장은 20일 전남 나주 한전 본사에서 열린 제22대 사장 취임식에서 "한전의 누적적자는 47조 원에 달하고 부채비율은 무려 600%에 육박한다. 특히 201조 원의 한전 부채는 국가 연간 예산의 30% 수준이고 국가 GDP(국내총생산)의 10%나 되는 막대한 금액으로 한전의 연 매출 전체를 3년 내리 쏟아부어도 다 갚지 못할 지경"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사장은 "사채발행도 한계에 도달했고 부채가 늘어날수록 신용도 추가 하락과 조달금리 상승으로 한전의 부실 진행 속도는 걷잡을 수 없이 빨라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협력업체의 연쇄적 도산과 전력산업 생태계 붕괴도 우려된다"며 "원가를 밑도는 전기요금은 에너지 과소비를 심화시키고 에너지 수입비용 증가로 국가 무역적자를 더욱 더 악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이런 상황까지 오게 된 것은 한전이 선제적으로 위기에 대처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국제연료가격 폭등과 탈원전 등으로 상승한 원가를 전기요금에 제때 반영하지 못한 데 있다"며 "최근 국제유가와 환율이 다시 급등하는 상황에서 전기요금 정상화는 더더욱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사장은 내부 반성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동안 한전이 공기업이라는 보호막, 정부보증이라는 안전판, 독점 사업자라는 우월적 지위에 안주해온 것은 아닌가. 글로벌 무한경쟁 시대에 미래 대비를 소홀히 한 채 무사안일했던 것은 아니냐"며 "전무후무한 위기 앞에서 모든 원인을 외부 탓으로만 돌려서는 안 되며 한전 스스로의 냉철한 반성은 없이 위기 모면에만 급급한다면 위기는 계속되고 한전의 미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사장은 한전의 전통적 사업구조를 탈피해 △에너지 신산업·신기술 생태계 주도 △신재생에너지 사업 추진 △제2원전 수출 등을 강조했다.

그는 "한전은 지금의 절체절명 위기 앞에서 환골탈태해야 한다. '제2의 창사'라는 각오로 결연하게 나아가야 한다"며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해서 전기요금 의존도를 획기적으로 낮춰야 하며 중장기적으로 총수익의 30% 이상을 국내 전력판매 이외의 분야에서 만들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사업 추진과 관련해 "해상풍력과 같은 대규모 사업은 자금력과 기술력, 풍부한 해외 파이낸싱 경험을 갖춘 한전이 적극 주도해 글로벌 경쟁력을 빠르게 구축해야 한다"며 "지난해 9%인 신재생 발전비중이 2036년 30.6%로 늘어나면 신재생 전력구입비용도 10조 원에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며, 이것은 국민의 전기요금에 고스란히 전가된다"고 말했다.

이어 "한전이 신재생 사업을 직접 수행하게 된다면 발전원가는 대폭 낮아지고 전기요금 인상요인도 그만큼 흡수될 것"이라며 "한전은 신재생 사업을 직접 하더라도 한전과는 독립된 조직으로 운영하고 회계도 분리하겠다. 망 중립성과 관련, 계통 접속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우려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겠다"고 덧붙였다.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음주 뺑소니' 후폭풍…끈끈하던 개그 선후배, 막장소송 터졌다
  2. 2 '나혼산'서 봤는데…'부자언니' 박세리, 대전 집 경매 넘어갔다
  3. 3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
  4. 4 군중 앞 끔찍한 전처 살해…"안 잡힐 자신 있다" 증발 16년째[뉴스속오늘]
  5. 5 "살결 부드러워"… BTS 진에 '기습뽀뽀' 한 일본팬, 뻔뻔한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