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은행채, 올해 남은 만기만 55조…채권시장 들썩인다

머니투데이 김남이 기자 | 2023.09.19 05:31
시민들이 서울 시내에서 은행 현금자동화기기(ATM·CD)를 이용하고 있다. /사진=뉴스1
연말까지 갚아야 하는 은행채 물량이 55조원에 이른다. 여기에 1년 전 판매된 정기예금 만기로 은행권의 자금 수요가 커지고 있다. 이미 은행권은 지난달부터 발행 물량을 크게 늘렸다. 우량채권인 은행채에 밀려 회사채가 시장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8일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연말까지 만기도래하는 은행채 잔액은 55조5500억원 규모다. 이 중 만기가 1년 이내로 단기 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된 금액이 30조6700억원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은행권은 만기도래 물량 대부분을 신규 은행채 발행을 통해 차환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채권시장에서 은행채 발행 증가가 심상치 않다. 올해 1~7월 은행채는 26조5800억원 규모가 순상환됐다. 발행보다 갚은 금액이 더 많았다. 하지만 지난달부터 분위기가 바뀌었다. 지난 8월 3조7800억원이 순발행됐고, 이달에도 지난 18일까지 발행금액이 상환금액보다 4조400억원 많다.

차환 물량뿐만 아니라 정기예금 만기에 대응하기 위한 자금조달 수요가 은행채 발행에 영향을 주고 있다. 현재 금융당국은 은행별로 채권발행 한도를 분기별로 만기의 125%까지로 제한하고 있다. 4분기에 다가올 자금 수요를 두고, 3분기부터 발행금액을 늘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9~11월 고금리 예금경쟁이 붙으면서 은행권 정기예금 잔액은 해당 기간 동안 약 114조원 증가했다. 판매된 정기예금 상품 중 1년 만기 상품은 이달부터 만기가 본격 도래한다. 은행권은 예금 금리를 높이며 자금 재유치에 나서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대응이 힘든 상황이다. 이에 채권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은행채 발행이 늘면서 채권 시장에서는 자금 쏠림 현상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높은 은행채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특히 만기도래하는 은행채 물량 중 38조8500억원가량이 KDB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IBK기업은행 등 초우량 국책은행 채권이다.

반면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낮은 회사채가 시장에서 소외된다. 3개월여 만에 채권 발행을 재개한 한국전력도 은행채 수요에 밀려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됐다. 지난 11일 2년 만기 한전채는 4.335% 금리에 발행됐다.

은행채 물량 증가는 금리상승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 15일 1년 만기 은행채의 평균 금리는 4.005%로 지난 1월 10일 이후 8개월여 만에 4% 선을 넘어섰다. 실제 지난 14일과 15일 각각 발행한 수은과 기은의 2년 만기 채권은 4.13% 금리에 발행됐다. 지난 15일 발행한 하나은행의 2년만기 채권 금리는 4.15%에 형성됐다.

은행업계 관계자는 "예금 재유치와 은행채 금리 상승으로 대출 금리도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며 "지난해 레고랜드 사태 이후 발생한 채권 시장 혼란이 1년 뒤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2세 신발 만든 지 5개월 만 파경…지연, 황재균 흔적 싹 다 지웠다
  2. 2 33평보다 비싼 24평…같은 아파트 단지인데 가격 역전된 이유
  3. 3 "명장 모셔놓고 칼질 셔틀만" 흑백요리사, '명장·명인' 폄하 논란
  4. 4 티아라 지연·황재균 이혼 인정…"성격 차이로 별거 끝에 합의"
  5. 5 "국민 세금으로 '불륜 공무원 커플' 해외여행" 전남도청에 무슨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