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만난 리창 中총리 "한중FTA 업그레이드하자"

머니투데이 자카르타(인도네시아)=박종진 기자, 안채원 기자 | 2023.09.07 21:06

[the300](종합)

(서울=뉴스1) 오대일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자카르타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중 회담에서 리창 중국 총리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홈페이지) 2023.9.7/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를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7일 리창 중국 총리와 한중회담을 열었다.

한일중 정상회의 복원 등을 통해 협력 메커니즘을 재개하겠다고 밝힌 윤 대통령이 본격적인 한중관계 개선에 물꼬를 트기 시작했다. 캠프 데이비드 한미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새로운 한미일 협력체를 구축한 데 이어 이를 바탕으로 한일중 관계에서도 조정자 역할에 나서는 모양새다.



일중 회담은 없었는데 한중회담은 '51분'


윤 대통령은 7일 오후 3시25분부터 4시16분(현지시간)까지 51분간 자카르타에서 리창 중국 총리와 한중회담을 가졌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참석하지 않아 '정상'회담이라고 부를 수는 없지만 중국을 대표해 국제무대에 나온 인사와 회담을 열었다는 것 자체가 성과라는 평가다.

특히 일중회담이 열리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먼저 한중회담을 성사시키면서 한일중 관계 조정자로서 주도적 위치에 서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과 중국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등으로 더욱 관계가 싸늘해져 회담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회담장에서 리창 총리를 만나자 "welcome, prime minister"(환영합니다, 총리님)라고 환영하며 악수로 인사했고 리창 총리도 "Nice to see you again"(다시 만나 좋습니다)이라고 화답했다.

이날 회담 시간은 51분으로 길었다. 다자회의를 계기로 열리는 회담은 대개 20~30분 수준에서 그치는 경우가 많다. 경제와 사회문화 등 내치를 담당하는 총리와 회동인 만큼 경제협력, 교류 강화 방안 등을 위주로 의견을 교환했지만 역내 안정 문제도 거론됐다.

(서울=뉴스1) 오대일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자카르타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중 회담에서 리창 중국 총리와 나란히 입장하고 있다. (대통령실 홈페이지) 2023.9.7/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일중 정상회의에 리창 中총리 "적절한 시기 개최 지지"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은 이날 현지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은 의장국으로서 한국이 추진 중인 한일중 정상회의가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한국에서 개최될 수 있게 협조해달라고 했고 중국 측에서는 적극 호응하겠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리창 총리는 "한중관계는 발전해야 한다. 한일중 정상회의의 적절한 시기 개최를 지지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 정부와 관련 절차를 거쳐 연내 한일중 정상회의를 다시 가동한다는 목표다.


윤 대통령은 이번 아세안 정상회의에서 한일중 협력 재개를 강조했다. 전날 윤 대통령은 아세안+3(한일중) 정상회의에서 "최근 한일관계 개선을 통해 한미일 3국 협력의 새로운 장이 열렸듯이 한국, 일본, 중국 3국 협력의 활성화는 아세안+3 협력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이른 시일 내에 한일중 정상회의를 비롯한 3국 간 협력 메커니즘을 재개하기 위해 일본, 중국 정부와 긴밀히 소통해 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의장국이자 아세안+3에서 3국을 대표하는 조정국으로서 필요한 역할을 적극 수행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서울=뉴스1) 오대일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자카르타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중 회담에서 리창 중국 총리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홈페이지) 2023.9.7/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尹대통령, 中총리에 "북한 문제가 한중관계 걸림돌 되지 않았으면"


또 북핵 문제에 대해서 윤 대통령은 "북핵은 우리에게는 실존의 문제다. 북핵이 해결되지 않으면 한미일 협력 체계는 더욱 공고해질 수밖에 없다"며 "중국이 안보리(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으로서의 책임과 역할을 다해 달라. 북한이 한중관계 발전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협력하자"고 당부했다. 한미일 협력체를 지렛대로 삼아 중국을 북한 핵 위협의 방관자 자리에서 관여자로 끌어내겠다는 뜻이다.

윤 대통령은 "한-중은 공히 다자주의와 자유무역질서를 지지하고 있는 만큼 그 전제가 되는 규범 기반의 국제질서 구축을 위해 협력하자"고도 말했다. 경제적 번영을 위해서라도 보편적 가치와 국제 규범을 준수해야한다는 의미다.

경제 분야에서는 리창 총리가 한중FTA(자유무역협정)와 관련해 "양국이 좀 더 개방성을 높인 업그레이드된 자유무역협정을 하고 싶다"고 제의했다. 한중관계가 본격적인 개선의 물꼬를 트면서 관세 혜택 적용 범위를 대폭 확대하는 등 한중 FTA 개정 작업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한중FTA의 경우 적용 품목 등 범위가 한미FTA에 비해 30% 수준 정도밖에 안 된다"고 했다. 양국의 이해관계에 맞춰 개선해나갈 부분이 많다는 얘기다.

한편 이날 회담에 우리 측에서는 박진 외교부 장관, 조태용 국가안보실장,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 최상목 경제수석 등이 참석했다. 중국에서는 우정롱 국무원 비서장, 류쿤 재무부장, 왕원타오 상무부장, 마자오쉬 외교부 부부장, 총량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부주임, 캉쉬핑 리창 총리판공실 주임 등이 참석했다.

베스트 클릭

  1. 1 태국 보트 침몰 순간 "내리세요" 외친 한국인 알고보니…
  2. 2 경매나온 홍록기 아파트, 낙찰돼도 '0원' 남아…매매가 19억
  3. 3 "아이고 아버지! 이쑤시개 쓰면 안돼요"…치과의사의 경고
  4. 4 민희진 "뉴진스, 7년 후 아티스트 되거나 시집 가거나…"
  5. 5 "김호중, 징역 3년 이상 나올 듯…바로 합의했으면 벌금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