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시평]중동으로 가는 대한민국 스타트업

머니투데이 김문겸 숭실대학교 명예교수, 전 중소기업 옴부즈만 | 2023.08.22 02:01
김문겸교수(전 중소기업 옴부즈만)
우리나라 기업이 중동에 진출한 역사는 짧지 않다. 1970년대 한국 기업들은 중동국가들의 인프라 건설에 참여하기 시작해 지금까지 자동차, 석유화학, 조선, 전자통신 그리고 전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사업을 영위했다. 중동 진출 50년의 주인공은 현대, 삼성, SK, 한전 등 대기업들이다. 그런데 올해부터 우리 스타트업이 중동에 진출하는 교두보가 마련됐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을 '제2 중동 붐'의 주역으로 만든다는 목표를 가지고 최근 장관의 중동 방문을 통해 벤처 및 스타트업 중동 진출의 발판을 만들었다. 올해 3월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최대 스타트업 행사인 'BIBAN 2023'에 한국의 10여개 스타트업을 인솔했고 막 문을 연 두바이의 글로벌비즈니스센터 (GBC)와도 협력관계를 수립했다. 세계적으로 알려진 현대나 삼성 같은 대기업이 아니라 이제 막 시작하는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이 중동 붐의 주역이 될 것이라니 가슴이 웅장해지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이 웅장한 계획은 MOU 수준이며 밑그림도 아직 그려지지 않았다.

거대한 자본과 브랜드를 가진 대기업도 중동시장에서 고전한다. 모든 것이 낯설고 인프라마저 변변치 않은 열사의 중동에서 이제 걸음마를 떼기 시작한 창업기업이 벤처생태계를 개척한다고 하니 여간 큰 도전이 아닐 수 없다. 자칫하면 싹도 틔우지 못하고 바로 말라죽기 십상이다. 스타트업에 중동의 문을 열어준 것은 중소벤처기업부다. 사막 한가운데에 그냥 던져놓기만 하면 안 된다. 뿌리를 내리도록 지원해야 한다.


첫째, 정보지원을 해야 한다. 일반적 시장 정보를 넘어서는 세밀한 기술수요 정보, 현지감각과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디자인과 마케팅 정보, 그리고 현지 창업계 플레이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전 세계의 기술과 스타트업이 몰리는 미국에서 이러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너무 방대해 불가능하다. 그러나 자본만 있고 아직 벤처가 태동기인 중동은 가능하다. 둘째, 네트워크를 제공해야 한다. 중동은 종교와 민족이 다양한 지역이다. 그만큼 현지에서 소통과 인력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확률이 높다. 자본과 규모에서 열세인 스타트업이 이런 종류의 장애를 극복하는 길은 현지 네트워크 활용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현지 정부기관과 협력해 우리 스타트업들이 활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할 뿐만 아니라 이를 유지·관리해야 한다. 셋째, 현지 중소기업 육성정책과 지원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장관의 방문을 계기로 사우디아라비아 투자청이나 아랍에미리트(UAE)의 GBC 등과 수립한 협력체계를 통해 우리나라의 스타트업이 현지 지원프로그램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이 3가지는 사업상 아주 기본적인 것이다. 그러나 중동에 진출하는 스타트업이 자력으로는 절대 마련할 수 없는 것들이다. 중동의 문을 열어젖힌 주체가 정부인 만큼 적어도 이 3가지는 정부가 계속 관심을 가지고 상당기간 꾸준히 도움을 줘야 할 것이다.

베스트 클릭

  1. 1 태국 보트 침몰 순간 "내리세요" 외친 한국인 알고보니…
  2. 2 경매나온 홍록기 아파트, 낙찰돼도 '0원' 남아…매매가 19억
  3. 3 "아이고 아버지! 이쑤시개 쓰면 안돼요"…치과의사의 경고
  4. 4 민희진 "뉴진스, 7년 후 아티스트 되거나 시집 가거나…"
  5. 5 "김호중, 징역 3년 이상 나올 듯…바로 합의했으면 벌금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