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 상반기 해외 매출 비중 63.3% "K팝 업계 1위"

머니투데이 김건우 기자 | 2023.08.21 13:56

하이브는 상반기 매출(1조316억원) 가운데 해외 비중이 63.3%(6526억원)으로 K팝 업계 1위를 차지했다고 21일 밝혔다. 해외 매출 비중은 아시아 30.7%, 북미 27.8% 수준이다. 같은기간 다른 엔터 기업들은 JYP Ent.가 52%, 와이지엔터는 49%, 에스엠이 34% 수준으로 집계됐다.

하이브 관계자는 "K팝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는 하이브가 수출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의미"라며 "아시아, 북미 등 다양한 지역에서 두루 매출 일으키고 있다"고 말했다.

품목 별로는 앨범이 41.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앨범이 주요 수출품이 되면서 하이브 해외 매출 규모는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8년 1661억원, 2019년 3666억원, 2020년 3379억원, 2021년 6801억원, 2022년 1조1812억원으로 집계. 지난해 연간 1조원 이상을 해외에서 벌어들이고 있다.

하이브는 K팝 기업이 해외에서 높은 앨범 판매고를 올리는 배경으로 MZ 세대의 디깅 소비 트렌드를 꼽고 있다. 디깅 소비란 음반, 음원 등을 듣는 일차원적인 소비를 넘어 좋아하는 것들을 소장하고 커뮤니티에 공유하며 더 깊이 콘텐츠 세계관에 몰입하는 문화를 의미한다.


음악 시장 분석업체 루미네이트는 지난달 발표한 2023년 중간보고서에서 지난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실물(피지컬) 앨범 10장 가운데 7장은 K-팝 그룹이 차지했다고 밝혔다. 실물 음반을 MD(머천다이즈)처럼 모으는 팬덤 문화가 앨범 판매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앨범은 CD와 포토카드로 구성되는데, IP(지식재산권) 산업의 특성상 포토카드 자체가 앨범 소장 가치를 높인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하이브는 글로벌 디깅 소비 트렌드에 맞춰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폐막식에서 방탄소년단 포토카드 세트 4만3000개를 스카우드 대원들에게 제공하기도 했다. 다수의 대원들이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포토카드 인증을 올리며 큰 만족감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시대를 맞이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무료로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되면서, IP(지식재산권)를 생산하는 기업들은 관련 굿즈와 결합해 매출을 일으키는 쪽으로 비즈니스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며 "초상권 보호 등 K팝 스타들의 IP 가치를 높일 방안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지하철서 지갑 도난" 한국 온 중국인들 당황…CCTV 100대에 찍힌 수법
  2. 2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3. 3 "1.1조에 이자도 줘" 러시아 생떼…"삼성重, 큰 타격 없다" 왜?
  4. 4 김호중 '음주 뺑소니' 후폭풍…끈끈하던 개그 선후배, 막장소송 터졌다
  5. 5 빵 11개나 담았는데 1만원…"왜 싸요?" 의심했다 단골 된 손님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