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카오 턱밑까지 따라온 구글…사용 시간은 이미 압도적

머니투데이 이정현 기자 | 2023.08.13 16:47
(마운틴뷰 AFP=뉴스1) 김성식 기자 =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1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서 연례 개발자 회의(I/O)에서 연설하고 있다. 2023.05.10.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글 등 미국 빅테크 기업과 카카오 등 한국 토종 플랫폼 기업 간의 국내 시장 점유율 차이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 빅테크 기업의 한국 시장 잠식이 가속화하는 모습이다.

13일 모바일 빅데이터 기업 IGAWorks(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 통계에 따르면 카카오톡의 지난달 MAU(월간 실사용자 수)는 4155만8838명으로 국내 1위였다. 2위는 구글의 유튜브로 MAU는 4115만7718명이었다. 카카오톡과 유튜브의 MAU 차이는 40만1120명에 불과했다.

카카오톡과 유튜브의 MAU 차이는 올해 들어 계속 좁혀지고 있다. 지난 5월 50만명대로 좁혀졌다가 지난달 40만명대까지 차이가 줄어든 것이다. 이는 모바일인덱스가 안드로이드와 iOS를 통합해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20년 이후 최소 격차다.

이같은 현상은 30대 사용자의 선호가 달라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MAU를 연령대 별로 나눠보면 10대 이하와 20대에서는 유튜브가 1위였고 30대 이상의 경우 카카오톡이 1위였으나 지난 5월과 7월에는 유튜브가 30대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유튜브는 카카오가 운영하는 국내 최대 음원 플랫폼인 멜론도 빠른 속도로 추격 중이다. 지난달 국내 모바일 음원 시장 MAU 1위는 멜론(665만1897명)이었으나 2위인 유튜브 뮤직(580만7421명)과 차이는 84만4476명에 불과했다. 두 플랫폼의 MAU 차이가 100만명 아래로 좁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유튜브 로고

유튜브는 월간 총사용 시간과 활성 기기 대수 지표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카카오톡과 네이버를 앞질렀다.


지난달 국내에서 모바일로 유튜브를 본 총사용 시간은 약 15억2920만 시간으로 2위인 카카오톡(약 5억1876만 시간), 3위인 네이버(약 3억4554 시간)보다 각각 2.9배, 4.4배 많았다.

활성 기기 대수 순위는 유튜브가 4195만1522대로 가장 많았고 지메일이 4193만3632대, 구글이 4178만2931대, 크롬 4177만8247대, 구글맵 4158만5710대에 이어 카카오톡이 4041만5882대, 네이버 3959만3651대 순으로 나타났다.

웹 기반 검색엔진 시장에서도 그간 국내 절대 강자였던 네이버의 점유율이 50%대로 떨어진 반면 구글은 30%대로 올라섰다. 이 밖에 국내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시장은 넷플릭스,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시장은 인스타그램(메타), 클라우드 시장은 아마존웹서비스(AWS)에 1위를 내줬다.

카카오와 네이버의 국내 시장 입지가 좁아진 이유로는 단기적인 이익만 추구하다가 각종 이슈에 휘말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국내 시장에서 거의 독점적인 지위를 차지한 것에 비해 이슈 대응이 미흡해 고객이 등을 돌렸다는 것이다.

네이버의 경우 자사 상품·서비스를 검색 결과 상단에 노출시키기 위해 검색 알고리즘을 조작했다는 의혹으로 2020년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267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카카오의 경우 지난해 10월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장기간 기능 중단을 일으켜 대국민 사과를 한 바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무섭다" 구하라 사망 전, 비밀계정에 글+버닝썬 핵심 인물에 전화
  4. 4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5. 5 김호중 "돈도 없는 XX놈"…건물주 용역과 몸싸움, 3년전 무슨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