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멜레온 피부색도 구현...디스플레이 한계 깬 3D프린팅 기술 나왔다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 2023.08.07 08:56

한국전기연구원 표재연 박사팀, 나노 3D프린팅 기반 '회절격자 제작 기술' 개발

첨단 디스플레이용 회절격자 제작에 활용한 '나노 포토닉 3D프린터'/사진=전기연
국내 연구진이 카멜레온의 변화무쌍한 피부색, 공작새의 아름다운 깃털 색의 물리현상을 나노 3D프린팅으로 구현하는데 성공했다. 이 기술은 투명 디스플레이나 증강현실(AR)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 3차원(3D) 프린팅 연구팀 표재연 박사팀은 나노 3D프린팅 기술을 기반으로, 빛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3차원 회절격자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자연에서 관찰되는 구조색 원리를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빛은 파장 수준의 작은 미세구조(머리카락 두께의 100분의 1에서 1000분의 1)를 만나면 회절(빛이 장애물을 만나면 휘어져 돌아나가거나 구멍을 통과해 넓게 퍼져나가는 현상)하여 경로가 바뀐다. 이때, 미세 구조에 규칙성이 있다면 회절에 의해 특정 파장의 빛만을 반사해 색상을 낼 수 있는데, 이를 '구조색'이라고 한다.

자연에서 관찰되는 예로, 카멜레온의 피부색은 여러 색소에 의한 것이 아니라 피부의 미세구조를 변화시켜 구조색이 변화하는 것이고, 공작새의 깃털은 내부 미세 구조의 특징적인 배열로 인해 아름다운 구조색이 보이는 것이다.

전기연의 성과는 구조색을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회절격자'를 나노 3D프린팅 기술로 구현한 것이다.

회절격자는 빛의 회절을 제어하는 목적으로 평행선 등의 미세 구조를 규칙적으로 배열시킨 장치다. 여기에 빛을 비추면 파장에 따라 빛이 다른 경로로 반사되어 구조색이나 스펙트럼이 발생된다. 즉,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빛을 제어해 염료 없이 자연의 아름다운 구조색을 정밀하게 구현한다.

파장이 머리카락 두께의 1000분의 1 수준에 불과한 빛의 회절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아주 미세한 회절격자가 필요하다. 전기연은 '수평 인쇄'라는 새로운 접근법으로 고밀도의 나노선 회절격자를 인쇄하는 데 성공했다. 3D프린팅 노즐을 마치 바느질하듯이 움직여 다리 모양의 회절격자로 여러 줄 인쇄하는 방식이다.

표재연 박사(오른쪽)를 비롯한 전기연 연구팀/사진=전기연
이번에 구현한 회절격자는 첨단 디스플레이 분야에 활용처가 많을 것으로 기대된다. 회절격자 자체의 투명성에 주목해 스마트 창문이나 거울, 자동차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 미래형 투명 디스플레이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또 핵심 구성요소로 이미 회절격자를 활용하고 있는 증강현실(AR) 장치에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회절격자는 변형에 따라 다른 색상이 발현되도록 설계할 수 있어 변형 감지가 필요한 기계공학과 생의학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며, 회절격자 자체로서 다양한 광 물리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표재연 박사는 "기판 소재나 형태의 제약 없이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구조색을 정확히 구현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3D프린팅 기술"이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형화된 '폼-팩터(Form-Factor)' 한계를 극복하고, 형태의 다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전기연은 "이번 성과가 디스플레이 관련 기업들의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고, 수요 기업을 발굴해 기술이전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중환자실 유재환, 산소호흡기 떼려고 몸부림 쳐"…모친이 전한 그 날
  2. 2 '쌍라이트' 조춘, 90세 된 근황 "목에 철심 12개…식물인간 될 뻔"
  3. 3 스시 시켰더니 '벌거벗은 여성'이… 사무라이 악습 따라한 대만
  4. 4 집주소도 털린 '밀양 가해자' 잠적?…"차도 없고 종일 불 꺼놔" 목격담
  5. 5 "치킨 안 팔리겠네" 한국축구 충격의 탈락…물 건너간 올림픽 특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