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전승절 맞아 '추모'…열사묘·中 인민지원군 열사능 참배

머니투데이 구경민 기자 | 2023.07.26 07:18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6일 "김정은 당 총비서가 조국해방전쟁(한국전쟁) 승리 70주년에 즈음해 평안남도 회창군에 있는 중국 인민지원군 열사능원을 찾으시고 열사들에게 숭고한 경의를 표했다"라고 전했다. 이곳은 한국전쟁에 참전한 중국군을 기리기 위한 곳으로, 김 총비서는 이 묘에 꽃송이를 진정하고 경의를 표했다고 한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승절'(한국전쟁 정전협정체결일·27일) 70주년을 기념해 '조국해방전쟁 참전열사묘'와 중국 인민지원군 열사능을 찾는 등 추모 행보를 이어갔다.

26일 뉴스1에 따르면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김정은 동지께서 위대한 전승 70돌을 앞둔 25일 조국해방전쟁 참전열사묘를 찾았다"고 보도했다. 우리의 현충원 격인 북한의 참전열사묘는 평양 서성구역에 위치해 있다.

김 국무위원장의 공개 활동 소식은 지난달 19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8차 전원회의 참석 관련 보도 이후 37일 만이다.

김 국무위원장은 열사묘 앞에 꽃송이를 진정하고 "7·27의 기적은 조국의 명예와 자주권을 결사수호한 우리 군대와 인민의 특출하고도 열렬한 애국 위업의 승리인 동시에침략의 원흉 미제에게 영원히 씻을 수 없는 수치와 패배를 안기고 새로운 세계대전을 막아낸 인류사적인 대승리"라고 강조했다.

이어 "역사와 전통이 위대하고 계승이 굳건한 국가는 필승불패"라며 "위대한 연대에 발휘된 영웅 정신과 투쟁 본때를 우리 혁명 특유의 불가항력으로 빛나게 계승해나갈 때 세계에서 가장 존엄있고 자주적인 강국 공화국은 영원히 승승장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국무위원장은 또 평안남도 회창군에 있는 중국 인민지원군 열사능도 방문했다. 모택동 당시 중국 국가주석의 아들로 참전했다 사망한 모안영의 묘에도 별도로 헌화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김정은이 정전기념일을 즈음해 열사묘와 중국군묘를 모두 방문한 것은 60주년이던 2013년과 65주년이던 2018년으로, 5·10년 단위로 꺾이는 해인 정주년을 중시하는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 국무위원장은 "우리 인민의 성스러운 반제반미 투쟁을 영웅적인 희생으로 지지성원하며 전쟁승리에 중대한 공헌을 한 중국 인민의 아들딸들의 숭고한 넋과 정신은 사회주의 이념과 더불어 영원불멸할 조중(북중) 친선의 초석으로, 귀감으로 청사에 역력히 새겨져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조국해방전쟁(한국전쟁)은 자기의 존엄과 명예, 자주권을 보위하고 세계 평화와 안전을 사수하기 위한 정의의 전쟁이었으며 평화 애호 역량과 진보적 인류를 대표하여 제국주의 지배 세력에 맞서 싸운 첨예한 정치군사적 대결이었다"며 "조중 두 나라 인민이 피로써 쟁취한 위대한 승리는 세기를 넘어 오늘도 변함없이 거대한 생명력을 발휘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반제자주, 사회주의 위업 실현을 위한 성스러운 투쟁 속에서 혈연의 유대를 맺고 정의와 진리의 힘으로 제국주의자들의 반동적 공세를 과감히 짓부숴 나가는 조중 두 나라 인민의 단결의 역사와 전통은 후세토록 굳건히 계승될 것"이라고 북중 유대를 강조했다.

중국 인민지원군 열사능에는 조용원 당 비서와 강순남 국방상, 최선희 외무상, 김성남 당 국제부장, 그리고 김여정 당 부부장이 동행했다.

베스트 클릭

  1. 1 "지하철서 지갑 도난" 한국 온 중국인들 당황…CCTV 100대에 찍힌 수법
  2. 2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3. 3 "1.1조에 이자도 줘" 러시아 생떼…"삼성重, 큰 타격 없다" 왜?
  4. 4 빵 11개나 담았는데 1만원…"왜 싸요?" 의심했다 단골 된 손님들
  5. 5 한국 연봉이 더 높은데…일 잘하는 베트남인들 "일본 갈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