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부부, 나토 정상회의 참석→폴란드 세일즈 외교 나선다

머니투데이 박종진 기자, 박소연 기자 | 2023.07.06 15:47

[the300]한일정상회담도 조율중…"우크라 방문은 계획 없다"

[성남=뉴시스] 홍효식 기자 = 프랑스와 베트남 순방을 마친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24일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해 공군 1호기에서 내리고 있다. 2023.06.24.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10일부터 12일까지 나토(NATO, 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리투아니아를 방문하고 이어 14일까지 폴란드를 공식 방문한다. 지난해 우리나라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한 윤 대통령은 2년 연속 파트너국 자격으로 함께 하며 북핵 대응 등 국제사회와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폴란드에서는 방산과 원전, 인프라 등 세일즈 외교에 집중한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은 6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윤 대통령 부부의 순방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윤 대통령과 김 여사는 10일 밤(현지시간) 리투아니아 빌뉴스에 도착한 뒤 11일 나토 사무총장 면담을 시작으로 네덜란드, 노르웨이 등 5개국 이상 국가 정상들과 연쇄 회담을 갖는다. 저녁에는 리투아니아 대통령 주최 나토 동맹국 및 파트너국 대상 만찬에 참석한다. 12일 오전에는 인도태평양파트너국(AP4)인 일본, 호주, 뉴질랜드 정상들과 별도 회동을 진행한다.

이어 나토 동맹국 파트너국 정상회의에 참석해 우크라이나 전쟁과 나토·인태지역 협력, 신흥 안보 협력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나토 정상회의 이후에도 리투아니아를 포함해 중동부 유럽 정상들과 개별 양자회담이 이어진다.

김 차장은 "이번 순방 계기에 폴란드 외에도 10개 이상 양자회담을 갖고 부산엑스포 유치와 공급망 협력 네트워크 확충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전신 기자 =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리투아니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참석 및 폴란드 방문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3.07.06.
한일 정상회담도 일본 측과 조율 중이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며 "그동안 일본 총리는 일본 국민의 건강과 안전, 주변 가까운 이웃들과 신뢰를 바탕으로 해결하는 방식으로 한다고 말했기 때문에 그러한 입장에서 언급이 있다면 우리 대통령은 우리 국민 건강을 최우선으로 삼는다는 입장과 원칙에 근거해서 필요한 말씀을 하실 것"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 부부는 리투아니아 일정을 마치고 12일 저녁 폴란드 바르샤바로 이동해 재외동포 간담회를 연다. 이번 폴란드 방문은 국빈급 공식 방문으로서 국빈 방문 제도가 없는 폴란드에서는 최고 수준의 예우다. 13일 오전에는 폴란드 대통령궁에서 공식 환영식과 정상회담이 열리고 이후 양국 정상의 공동 언론발표가 진행된다. 윤 대통령은 오후에는 폴란드 총리, 하원의장, 상원의장과 각각 회담하고 무명용사 묘에 헌화한다. 14일에는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과 함께 비즈니스포럼에 참석하며 이후 바르샤바 대학에서 미래세대와의 대화를 갖는다.


서유럽으로 향하는 관문이자 우크라이나 재건의 요충지로 꼽히는 폴란드에서는 세일즈 외교에 방점을 찍는다. 구광모 LG 회장과 김동관 한화 부회장 등 89명의 경제사절단이 동행한다. 이미 협력이 진행 중인 2차 전지와 방산, 원전 분야뿐만 아니라 상당수 건설사도 함께 한다.
[서울=뉴시스] 전신 기자 = 최상목 경제수석이 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리투아니아-폴란드 순방 주요 경제 일정 및 예상 성과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3.07.06.
윤 대통령은 이번 순방 기간 중에 우크라이나는 방문하지 않는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우크라이나 별도 방문은 현재 계획에도 없고 추진되고 있지 않는다"며 "우크라이나 문제는 미국 등 동맹국과 협력패키지를 논의하고 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에 맞는 지원이 무엇인지 식별하면서 지원할 예정"이라고 했다.

한편 한미동맹을 '핵기반 동맹'으로 격상시킬 양국 간 NCG(핵협의그룹) 첫 회의는 조만간 차관급으로 격상(당초 차관보급 협의체로 논의)해 열릴 예정이다. 이 관계자는 "정확한 날짜와 참여자의 기능이나 역할 그리고 논의할 의제와 목표에 대해 막바지 조율 중에 있어 가까운 시일 내 확정되면 발표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일각에서 제기된 7월 말 개최설에는 "7월 말은 왠지 아니라는 기분이 든다"고 밝혔다.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음주 뺑소니' 후폭풍…끈끈하던 개그 선후배, 막장소송 터졌다
  2. 2 "1.1조에 이자도 줘" 러시아 생떼…"삼성重, 큰 타격 없다" 왜?
  3. 3 '나혼산'서 봤는데…'부자언니' 박세리, 대전 집 경매 넘어갔다
  4. 4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
  5. 5 피자·치킨 20인분 배달가니 "안 시켰다"…후불 '음식테러' 한 사람 정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