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저·정부지원 '기회의 땅' 된 일본…국내 VC, 日 진출 러시

머니투데이 김태현 기자 | 2023.07.06 11:13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국내 벤처캐피탈(VC) 업계 내 일본의 위상이 달라졌다. 한국, 중국, 동남아시아 등 주변국과 비교해 이제 막 태동기에 들어선 일본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발굴할 수 있는 투자 기회가 많다. 또 엔화 약세로 투자 회수 시 투자 수익에 더해 환차익까지 기대되기 때문이다.

국내 VC들의 일본 진출도 활발해지고 있다. 현지 VC와 투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는가 하면 일본 현지에 직접 사무소를 두고, 스타트업을 발굴하려는 액셀러레이터(AC)도 나오고 있다.


'스타트업 볼모지' 日, 달라진 위상…"출자 받고 싶은 나라"


/사진제공=VC협회
6일 벤처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벤처캐피탈(이하 VC협회)는 지난달 'GVIS(지비스) SEOUL 2023'에 참석한 VC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GVIS SEOUL 2023은 국내외 주요 VC와 출자자(LP) 간 교류를 위한 자리로 국내 VC의 해외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

VC협회는 지비스에 참석한 42개 VC를 대상으로 국내 VC의 해외 LP에 대한 인식도와 지비스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 이중 24개사가 응답했다.

6개 질문 중 가장 눈에 띈 건 '향후 선호 해외 LP 국가'에 대한 부분이었다. 복수선택으로 진행된 질의에서 미국이 전체 20개 VC의 선택을 받은 미국이 1위를 차지했다. 동남아와 중동이 각각 17개와 11개로 뒤를 이었다. 4위(9개사)는 일본과 유럽이 차지했다.

과거 VC들이 선호했던 홍콩과 중국은 0표를 받았다. 코로나19(COVID-19) 팬데믹(세계적대유행)과 해외 투자자에 대한 규제 강화로 중화권에 대한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

'VC가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국가'에 대한 질의에서도 일본은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20개사가 선택한 동남아와 18개사가 선택한 미국에 이어 3위(6개사)를 기록했다. 중국은 0표를 기록했다.

VC협회 관계자는 "이번 설문조사에서 특이할 점은 과거에 비해 일본과 중동의 진출 희망 비율이 높다는 점"이라며 "최근 미중 갈등으로 중국 벤처투자에 대한 외면은 가속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낮은 기업가치·엔저·정부지원…日 벤처투자 호재 삼박자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오른쪽)이 지난달 12일 일본 도쿄 정부청사에서 고토시게유키 일본 스타트업담당상(왼쪽)과 양자면담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중소벤처기업부
국내 VC들이 일본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우선 일본 정부의 전향적인 스타트업 관련 정책이다. 지난해 기시다 후미오 내각은 5개년 스타트업 육성 정책을 발표했다.

5년내 스타트업 수를 10배인 10만개로 늘리고,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사) 100개를 목표로 10조엔(약 89조8980억 원)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대기업 △대학 △연구기관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투자기관 등을 연계한 네트워크도 조성할 계획이다.


일본 벤처투자 시장이 국내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걸음마 단계라는 점도 호재다. 지난해 일본 벤처투자는 8508억엔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3.03% 증가한 역대 최고치다. 그러나 국내총생산(GDP) 대비 벤처투자는 0.16%로 0.31%인 한국과 비교해 크게 떨어진다. 유니콘도 6개에 불과하다. 스타트업에 대한 기업가치도 주변국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상태다.

역대급 엔화 약세도 일본 벤처투자 시장의 매력도를 높인다. 코로나19 팬데믹 직후였던 3월 1000원당 1191.34원까지 올랐던 엔화는 현재 1000원당 897.49엔(6월23일)까지 떨어졌다. 전 세계 중앙은행의 긴축 흐름에도 일본은행(BOJ) 나홀로 통화 완화정책을 편 결과다.


"日 벤처시장 잡아라"…물밑 작업 나선 국내 벤처투자사


국내에서 일본 투자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곳은 신한벤처투자다. 지난달 22일 신한벤처투자는 일본 글로벌브레인과 투자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글로벌브레인은 지난해 투자금액 228억엔(약 2000억원), 총 운용자산(AUM) 2200억엔으로 대형 VC다. 일본 2위 통신사인 KDDI와 일본 부동산 업계 1위 미쓰이부동산 등 일본 내 주요 대기업들을 LP로 두고 있다.

양사는 일본 현지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일본 진출을 검토 중인 국내 스타트업에도 투자할 계획이다. 신한벤처투자는 이를 위해 연내 500억원 규모의 일본 펀드 결성을 준비 중이다.

이를 위한 밑작업은 일찌감치 시작했다. 지난해 신한금융그룹은 신한퓨처스랩 재팬을 출범했다. 일본 시장을 진출하려는 국내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스타트업 육성 플랫폼이다. 이외 다른 대형 VC들도 일본 사무소 설치 및 현지 스타트업 투자를 위한 펀드 결성을 준비 중이다.

일본에 대한 높은 관심은 AC 업계도 마찬가지다. 은행청년창업재단(디캠프)도 지난달 일본 진출을 선언했다. 일본 핀테크혁신센터 피노랩과 협약을 맺고 일본 현지 스타트업 육성 공간을 마련했다. 디캠프는 주로 국내 스타트업의 일본 진출 및 현지 투자유치를 지원할 계획이다. 1세대 AC인 스파크랩의 김호민 대표도 최근 일본 진출을 위한 출장길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네 남편이 나 사랑한대" 친구의 말…두 달 만에 끝난 '불같은' 사랑 [이혼챗봇]
  2. 2 '6만원→1만6천원' 주가 뚝…잘나가던 이 회사에 무슨 일이
  3. 3 20대女, 하루 평균 50명 '이 병'으로 병원에…4050은 더 많다고?
  4. 4 바람만 100번 피운 남편…이혼 말고 졸혼하자더니 되레 아내 불륜녀 만든 사연
  5. 5 "바닥엔 바퀴벌레 수천마리…죽은 개들 쏟아져" 가정집서 무슨 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