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 日은 펫보험 시장만 1조···규제 풀면 더 큰 시장 보인다

머니투데이 김세관 기자 | 2023.06.28 05:52

[기획-반려동물 800만시대, 무용지물 '펫보험']②

편집자주 | 국내 반려동물 규모는 800만마리에 이른다. 빠르게 증가하면서 반려동물 의료비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펫보험 가입률은 1%에도 미치지 못한다. 펫보험이 있어도 활용도가 높지 않아서다. 펫보험 활성화를 가로막는 걸림돌과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봤다.

이제 시작단계인 우리와 달리 이웃나라 일본의 펫보험 시장은 1조원에 육박한다. 보험사가 펫 헬스케어나 푸드 사업은 물론이고 동물병원까지 운영할 수 있다. 국내 펫보험 시장이 일본처럼 커지기 위해서는 진료기록 발급 의무와 함께 금융사 자회사 출자범위 및 부수업무 개선 등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7일 보험업계에 따르며, 국내 펫보험 시장은 지난해 기준 300억원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약 1조원에 육박하는 이웃 일본의 펫보험 시장과 크게 비교된다.

일본의 펫보험 시장이 1조원까지 클 수 있었던건 보험사들이 다양한 관련 분야에 진출할 수 있는 길이 열려 있어서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일본 보험사는 기본적인 보험상품 판매 뿐만 아니라 △펫 헬스케어 △펫 푸드 △펫 부동산 △펫 재생의료 △동물병원 운영 △브리딩(훈련) △ESG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19.2%씩 성장해 왔다. 그럼에도 일본의 펫보험 가입율은 12~16%로 더욱 커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반면 국내 펫보험 시장은 강력한 규제가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 특히 보험업권은 전통적인 금융규제 체계에 갖혀 신사업 진출에 엄격한 제한을 받는다. 보험 상품 외에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서비스 출시가 불가능하다. 이에 성장동력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보험사들에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보험사들 뿐만 아니라 은행이나 카드사 등 전통 금융업권도 새로운 금융 플랫폼으로 영향력을 키워가는 빅테크(IT대기업) 등과의 경쟁을 위해 조속한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보험업권 한 관계자는 "보험업 연관성을 기준으로 하는 현행 부수업무 판단기준의 범위를 더 확대해 줬으면 한다"며 "반려동물과 관련한 플랫폼 기반의 다양한 비금융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되면 다양한 시너지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이 여자 제정신입니까" 판사 저격한 의협 회장…무슨 일?
  2. 2 "2600만원 빌려줬더니 잠적"…가수 현진우, 빚투 의혹 휘말렸다
  3. 3 "위험해요" 민원에도 조치 없었다…버스 위로 '쾅' 9명 앗아간 건물 붕괴[뉴스속오늘]
  4. 4 왜 안나오지?…공항서 내 여행가방만 늦는 이유
  5. 5 불바다 된 홍콩…경찰은 소년에 실탄까지 쐈다[뉴스속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