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부총리 "밀가격 내렸으니 라면값도 내려야"

머니투데이 세종=김훈남 기자 | 2023.06.18 11:25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07회 국회(임시회) 제2차 본회의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3.6.13/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라면 업계의 과도한 영업이익 논란에 대해 "최근 곡물 가격 인하에 따라 (라면) 제조업체도 (소비자) 기대에 부응하는 노력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라면 등 지난해 곡물 가격 인상에 따라 소비자 가격이 오른 만큼 가격 인하 필요성이 있다는 얘기다.

추경호 부총리는 18일 오전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물가와 금리, 재정 운용 방향 등 경제 현안에 대해 설명했다. 추 부총리는 "라면 업계가 지난해 곡물 가격 인상에 따라 소비자 가격을 올렸고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이 굉장히 늘렸다"는 사회자 질문에 대해 "지난해 9~10월 국제 밀가격 상승과 인건비 증가에 따라 (라면의) 소비자 가격을 많이 올렸다"며 "지금은 밀가격이 그때(지난해 9~10월) 대비 50% 내렸다"고 답했다.

이어 "라면 제조업체도 밀가루 가격으로 올렸던 부분에 대해선 다시 적정히 내리는 대응을 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가격 인하 필요성을 제기했다. 추 부총리는 "라면 같은 품목은 정부가 개입해 가격을 통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도 "업계도 소비자의 물가 고통 부담을 고려해 적정하게 기대에 부응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추 부총리는 최근 3%대로 내려온 물가상승률 전망에 대해선 "6~7월 2%대로 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원자재·곡물 가격 급등 등 세계적 고물가 현상으로 6.3%까지 올랐던 물가가 하향 안정화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추 부총리는 "이후 원자재가격이 안정세를 보이고 각종 정책 지원을 한 결과 5월 물가상승률이 3.3%로 내려왔다"며 "국민이 많이 소비한 품목 중심으로 살피는 생활물가도 3.2%로 20개월만에 가장 낮았다"고 했다.


3분기 동결이 유력한 전기요금에 관해선 "원가 상승요인이 있다면 공공기관이 경영효율화나 생산성 향상으로 흡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여러 기간에 분산해 각종 공공요금이 오르는 것을 조절하고 있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전기·가스 등 에너지 요금은 기본적으로 해외수입으로 만들어내는 만큼 요금을 결정할 때 에너지 가격을 고려 안 할 수 없다"며 "최근 국제에너지 가격이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단기에는 (에너지공기업) 적자 해소가 될 것으로 보이지만 수년간 나눠 적자를 해소하는 정책을 갖고 있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의 35조원대 추가경정예산 편성 요구에 대해선 기존의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추 부총리는 "민주당이 요구한 35조원 규모 추경의 세부항목을 보면 올해 예산에 반영돼있는 게 대부분"이라며 "올해 경기가 안 좋아 세금 수십조원이 덜 걷히고 있는데 한쪽에서 35조원 빚내자는 건 앞뒤가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베스트 클릭

  1. 1 태국 보트 침몰 순간 "내리세요" 외친 한국인 알고보니…
  2. 2 경매나온 홍록기 아파트, 낙찰돼도 '0원' 남아…매매가 19억
  3. 3 "아이고 아버지! 이쑤시개 쓰면 안돼요"…치과의사의 경고
  4. 4 "김호중, 징역 3년 이상 나올 듯…바로 합의했으면 벌금형"
  5. 5 '수상한 안산 주점' 급습하니 PC 14대…우즈벡 여성 주인 정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