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수술 수혈률 78%, 물쓰듯 펑펑… 호주는 '이것'으로 사용량 줄여

머니투데이 안정준 기자 | 2023.05.10 13:40

[MT리포트]혈액 절벽이 온다③

편집자주 | 대한민국이 '피 부족 국가'로 진입한다. 10·20 수혈이 지속적으로 줄어 10년 전 대비 반토막 났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피로 지금까지 버텨냈지만, 곧 임계점이라는 우울한 전망이 나온다. 당장 올해 혈액 공급이 소요량에 못미치는 위기 단계가 올 수 있다. 인구절벽과 맞물려 도래할 '혈액 절벽'은 국민 생명줄의 위기이기도 하다. 헌혈 공급을 늘리기 어렵다면 혈액 '수요'를 조절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발등의 불인 혈액 위기상황을 점검하고 대책을 모색해본다.

"우리나라가 거의 세계 1등인 영역이 있습니다. 인구 1000명당 사용하는 적혈구 수혈량입니다."

김태엽 대한환자혈액관리학회 회장(건국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는 우리나라 혈액 관리의 현주소를 평가해달라는 머니투데이 질문에 "우리나라는 혈액 공급 관리는 굉장히 잘하지만 의료현장에서 혈액을 너무 많이 사용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인구 절벽으로 곧 수혈용 혈액부족이 본격화되지만 혈액 사용량은 세계 최고수준이라는 것. 결국 공급보다는 의료현장에서의 수요 관리가 '혈액 절벽' 대응의 시작이라는 지적이다.

우리나라 의료현장의 혈액 사용량이 지나칠 정도로 많은 것은 사실일까. 질병관리청 집계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인구 1000명당 적혈구제제 공급량은 호주와 일본, 캐나다의 경우 각기 27유닛(1유닛=400cc), 26.3유닛, 21.1유닛인 반면 한국은 41유닛이었다. 우리나라가 이들 세 국가보다 두 배 가량 많은 혈액을 사용하고 있는 셈이다.

의료현장의 과도한 혈액 사용 관련 단적인 예가 슬관절치환술이다. 한국의 슬관절치환술 수혈률은 78%인데 미국과 영국은 8%, 호주는 14%에 불과하다. 이와 관련, 이정재 순천향대서울병원장은 "우리나라에서 무릎수술을 받는 환자가 100명이라면, 이 가운데 78명이 수혈을 받는 반면 미국이나 영국은 8명에 불과하다는 뜻"이라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수혈 적정성 평가를 하게 된 계기도 슬관절치환술의 과도한 수혈률 때문이었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구체적 수혈률을 파악 가능한 수술 슬관절치환율이기 때문에 그나마 구체적 해당 통계가 있다는게 의료계 설명이다. 김 회장은 "슬관절 수술을 받는 사람은 그 수술 외에는 수혈받을 확률이 없어 평가 지표로 사용하기 쉬웠던 것"이라며 "혈액 사용량이 실제론 더 많은 심장수술의 경우엔 세분화된 진단코드와 혈액사용 자료가 없어 비교가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심장수술 수혈률도 추정 자료는 있다.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혈액장기정책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심장수술 수혈률은 76~95%로 추정된다. 29%인 미국의 최대 3.2배다. 의료현장 혈액 사용은 세계 최고수준이지만 수술별 수혈률 세부 집계도 어려운 것이 수요 측면에서의 우리나라 혈액 관리 현주소인 셈이다.

이처럼 의료현장에서 새는 피를 관리하려는 시도가 그동안 없던 것은 아니다. 수술 시 얼마나 혈액이 사용되는지, 수혈을 피하기 위한 사전 조치는 취해졌는지, 부적절한 수혈 관행이 이뤄지는지 평가·감시하는 이른바 '환자혈액관리'(Patient Blood Management·PBM) 개념이 도입된게 2019년이다. 혈액관리법 개정으로 의료기관에 '수혈관리위원회' 설치가 의무화되면서다. 유독 우리나라만 도입한 개념이 아니다. PBM은 2010년부터 세계보건기구(WHO)와 유럽집행위원회(EC) 등에서 2010년부터 세계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도입 후 4년이 지난 지금까지 의료현장에선 PBM 개념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게 보건의료계 중론이다. 우선 PBM 개념을 반영한 수술실 수혈 가이드라인이 없다는 지적이다. 일부 병원은 수술 중 수혈량을 제대로 체크하지 않아 어디서, 얼마나 혈액이 낭비되는지조차도 알 수 없다는 말도 나온다.

이와 관련, 김 회장은 "헤모글로빈 수치가 15 정상이라면, 우리나라는 10이면 수혈하지만 미국은 7이 돼야 수혈한다"며 "우리나라 가이드라인엔 환자 혈액 관리개념인 PBM이 덜 반영돼 있어 사용량이 많은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뿐 아니라 호주와 캐나다 등도 이 가이드라인은 7 이하다.

관리 부처인 보건복지부가 PBM 개념을 충분히 숙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 회장은 "수혈관리위원회를 만들어서 의료진을 교육시키고 PBM 개념이 의료현장에서 구현되도록 하겠다라고 보건복지부의 계획은 서있다"며 "하지만 수혈관리위원회는 과거 수혈위원회처럼 혈액 폐기율 관리와 안전하고 안정적인 혈액 공급에만 치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환자혈액관리 개념과는 무관한 일을 하고 있다는 것.

보건의료계에선 의료현장에 PBM 개념만 잘 정착돼도 수혈량 관리가 가능할 것이라는 조언이 나온다. PBM을 통한 수혈 관리의 대표적 성공 사례가 호주다. 호주는 PBM 개념 도입으로 인구 1000명당 적혈구제제 사용량을 2008년 31.8유닛에서 2013년 21.5유닛으로 줄였다. 정부 주도로 PBM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가이드라인을 개발해 혈액안전 감시체계를 운용한 것이 성공 요인으로 꼽힌다.

김 회장은 "아직 우리나라에 PBM에 정착되지 못한 것은 '적정화'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뜻이며 의료진도 PBM이 뭔지 아직도 잘 모르는 상황"이라며 "정부가 슬관절 수술률을 넘어 좀더 세분화된 국내 자료를 확보해 교육에 사용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베스트 클릭

  1. 1 [단독]허웅 전 여친, 이선균 공갈사건 피고인과 같은 업소 출신
  2. 2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
  3. 3 "허웅이 낙태 강요…두 번째 임신은 강제적 성관계 때문" 전 여친 주장
  4. 4 "손흥민 이미지…20억 안부른 게 다행" 손웅정 고소 부모 녹취록 나왔다
  5. 5 강제로 키스마크 남겼다?…피겨 이해인, 성추행 피해자 문자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