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인니 아래던 한국, 세계 10위…매년 새 일자리 34만개"

머니투데이 오진영 기자 | 2023.03.16 12:00
서울 중구 세종대로 대한상공회의소. /사진= 뉴스1

대한상공회의소가 '상공의 날 50주년 기념주간'을 맞아 한국경제 50년을 돌아보는 "한국경제와 우리기업의 50년 변화와 미래준비"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고 16일 밝혔다.

대한상의는 연구를 위해 제 1회 상공의 날이 개최된 1974년과 현재의 한국 경제를 비교분석했다. 1970년대는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한국 경제를 대표하는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한 시기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경제는 50년 전과 비교해 큰 성장을 이룩했다.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1974년 195억 달러에서 지난해 1조 6643억 달러로 85.2배 상승했고, 같은 기간 1인당 GDP도 563.3 달러에서 32,236.8달러로 57.2배 상승했다. 전세계 GDP 순위도 30위에서 10위로 크게 올랐다. 1974년 대한민국의 GDP 순위는 베네수엘라(25위), 인도네시아(26위), 나이지리아(29위)보다 낮았다.

보고서는 성장의 배경으로 기업의 노력을 꼽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지난 50년간 한국의 기업 투자가 GDP에 기여한 비중은 평균 20%로, 미국(10.8%)이나 일본(16.6%), 영국(10.7%) 등 주요국에 비해 높았다.


한국은 '수출입국'(수출로 세운 나라)'이라는 말도 증명됐다. 제1회 상공의 날이 개최된 1974년 당시 우리나라의 수출 총액은 44.6억 달러에 불과했으나, 3년 만에 수출 100억 달러를 달성하고 1987년에는 400억 달러를 벌어들였다. 1995년에는 1000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지난해 총 수출액은 50년 전보다 153배 뛴 6835.8억 달러다.

기업은 투자와 일자리 창출에도 많은 성과를 냈다. 국가 전체의 투자총액이 1974년 21.3조원에서 2022년 568.4조원으로 26.7배 오르는 동안, 민간부문이 지식재산생산물에 투자한 금액은 2545억원에서 120.7조원으로 474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임금 근로자수는 444만명에서 지난해 2150만명으로 늘었다. 기업이 지난 50년간 1706만개, 매년 평균 34만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했다는 의미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지난 50년간 국가 경제 성장의 주역을 맡아 온 우리 기업들에게 국민들이 기대하는 역할도 달라졌다"라면서 "기업의 역량을 발휘하여 사회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주길 바라고 있기 때문에 기업인들도 새로운 기업가 정신을 발휘하여 다가올 100년을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
  5. 5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