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청난 표로 정치판에 입김…구태에 질린 MZ, 노동시장 흔든다

머니투데이 우경희 기자 | 2023.02.25 06:00

[MT리포트]새로운 바람 MZ노조⑤ "기업 내부서 다양한 변화와 시도 이뤄져야 할 것" 목소리도

편집자주 | MZ세대가 노동운동에도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공정성을 기치로 내건 이들은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등 기성 노조의 행보를 답습하지 않겠다는 각오다.

(서울=뉴스1) 박세연 기자 = 유준환 의장(오른쪽 두번째)를 비롯한 새로고침 노동자협의회 위원들이 21일 서울 용산구 동자아트홀에서 열린 새로고침 노동자협의회 발대식에서 결의문을 낭독하고 있다. 2023.2.21/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 사업을 진행하면서 가장 신경쓰는것 중 하나가 노동조합이다. 현대차노조가 한국의 협동로봇 시장이 커질지 말지를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만난 한 외국계 협동로봇 기업 대표의 말이다. 협동로봇을 사 주는 고객인 기업이 아니라 노동조합이 로봇 시장의 성패를 결정할거라는 말은 우리 기업계에서 노조가 갖는 위상과, 그에 따라 기업이 안고 있는 리스크를 동시에 보여준다.

공장자동화율은 인건비를 포함한 생산비용, 시간당 생산성 등에 따라 경영의 측면에서 결정돼야 할 일이다. 여기에 노동조합이 개입한다. 일자리가 줄어든다며 공장자동화를 거부하고 생산효율을 억지로 낮춘다. 더 많은 시간 공장을 돌려 더 적은 제품을 생산한다면 당연히 제품가격이 오른다. 이 부담은 기업 뿐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돌아간다.

MZ세대(1980년대~2000년대 초반 출생 세대)가 주도하는 대안노조 '새로고침 노동자협의회' 출범에 재계의 비상한 관심이 쏠리는건 이 때문이다. 기업도 정부도 소비자도 어쩌지 못하는 노동시장 구조를 안에서부터 혁신하겠다고 나선 청년들이 쏘아올린 신호탄이다.

기업들은 우리나라 노사관계를 기울어진 운동장에 비유한다. 어느 정도 힘의 균형을 유지하던 노사관계는 노동계의 영향력이 커지고 정치세력과 노동계가 서로를 상호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불균형의 시대로 접어들기 시작했다. 최저임금이나 근로시간 등 노동계 이슈들이 새 정부의 최우선 국정과제 지위에 오르기 시작한 것도 이 즈음이다.

일부 정치세력과 노동계의 결탁은 사실상 품앗이나 마찬가지다. 특정 지역에서 엄청난 표를 보유한 노조의 조력이 필요한 정치세력은 노동개혁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으며, 정치적 비호를 받는 노조는 정치구호를 외친다. 이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노조는 더욱 정치세력화하고 그런 노조를 보유한 기업의 기업활동 역시 시나브로 기형적 구조가 된다.


새로고침 노동협의회가 탄생하게 된 배경도 마찬가지다. 이들은 출범식에서 "이석기 석방이나 한미연합훈련 반대 등 기존 노동조합이 정치적 활동을 하는데 공감하지 못한다"며 "노동자 처우와 노동환경 개선 등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또 "정치구호와 폭력시위로 노조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좋지 않다"며 "미래 노동시장을 연구하고 새로운 시도를 꾀하겠다"고 덧붙였다.

한 대기업 고위 관계자는 "한국의 노사관계 불균형과 경직된 노동문화는 어지간한 외부 충격으로는 흔들어놓을 수 없을 정도로 고착화해 있다"며 "근로자들 내부에서 변화와 자성의 목소리가 나온다면 비집고 들어갈 틈이 생길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재계는 비록 느리지만 노동시장 개혁이 이미 시작됐다고 본다. 글로벌 시장에서 다투는 우리 기업 중 강성노조를 보유한 경우는 일부에 국한된다. 과거 강성노조의 쟁의에 몸살을 앓았던 정유업계 대표기업 SK이노베이션 등은 노사관계 대표 우수기업으로 꼽힌다. 철강업계에선 포스코 노조가 비록 구성원은 소수지만 최근 금속노조 탈퇴를 결의하는 등 변화의 바람에 동참했다.

대안노조의 탄생이 노사관계 변화의 속도를 더 높여주기를 기업들은 기대한다. 다른 기업 관계자는 "쉬운 길은 아니겠지만 이번 사례를 따라 기업 내부에서 보다 다양한 변화와 시도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
  5. 5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