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 중지 예정… 내달 중 최종 결정

머니투데이 대전=허재구 기자 | 2023.01.26 13:43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약제 사용 환경적 우려 전문가 의견 수렴 중

소나무재선충병 예방나무주사 방제 모습./사진 제공=산림청
지난 2005년부터 진행돼 온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를 올해부터 중지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다.

산림청은 다음 달 중으로 약제전문가 및 이해관계자 등의 최종 의견을 수렴해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 중지 여부를 최종 결정할 방침이라고 26일 밝혔다.

소나무재선충병은 한 번 감염되면 거의 100% 고사되는 가장 치명적인 산림병해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1988년 부산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현재 전국적으로 140개 시·군·구에서 피해 확산과 감소가 반복되는 실정이다. 약 100년 전에 피해가 발생한 일본에서는 사실상 방제를 포기한 상태다. 유럽에서도 재선충병 피해 확산에 따라 목재생산 감소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소나무재선충은 자가 이동 능력이 없어 매개충(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에 의해 전파된다. 매개충이 월동하는 겨울철에는 감염목 등을 벌채해 파쇄, 훈증, 소각하고 매개충이 활동하는 봄부터 가을까지는 항공·지상방제를 통한 약제를 살포해 매개충을 구제한다.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에 주로 활용되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열 티아클로프리드 약제는 채소·과실류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살충제다. 이 약제는 보통독성을 지녀 꿀벌에 대해 안전하고 기피성도 없는 것으로 농촌진흥청에 등록돼 있다.

하지만 최근 유럽과 미국에서는 이 약제에 대한 사용이 제한되는 추세다. 국내에서도 약제에 대한 위해성 문제가 국회, 언론 등을 통해 제기되고 있다.


산림청은 이 약제와 꿀벌 폐사, 개체 감소와의 직접적인 관련성은 면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단, 사회·환경적 우려를 고려해 소나무재선충병이 급속히 확산된 지난 2014년 이후 연간 2만2000㏊ 규모의 항공방제를 지난해에는 1/20 수준인 1000㏊ 규모로 줄여 제주도와 경남 일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실행하는 등 항공방제 규모를 꾸준히 줄여 오고 있는 상황이다.

또 작년 9월부터 국내 약제전문가 등으로 '산림병해충 약제전문가 협의회'를 구성하고 약제 위해성 및 재선충병 방제 대체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소속기관인 국립산림과학원 중심으로 방제 약제에 대한 꿀벌 위해성 등의 연구를 지속 진행하되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약제에 대해서는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헬기를 활용하는 항공방제보다는 중요 보전지역과 집단발생지 등을 대상으로 소면적 정밀방제 효과가 높은 드론방제, 지상방제를 활용하고 소나무류에 직접 주입해 매개충을 구제하는 예방나무주사로 보완하는 방안도 계획 중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이런 항공방제 개선(안)에 대해 다음 달 초 국내 약제전문가를 비롯해 지자체, 임가 등 이해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하고 네오니코티노이드 약제의 대체약제 발굴, 매개충 구제방안 등 개선방안을 마련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보물이 와르르' 서울 한복판서 감탄…400살 건물 뜯어보니[르포]
  2. 2 '공황 탓 뺑소니' 김호중…두달전 "야한 생각으로 공황장애 극복"
  3. 3 김호중 팬클럽 기부금 거절당했다…"곤혹스러워, 50만원 반환"
  4. 4 이 순대 한접시에 1만원?…두번은 찾지 않을 여행지 '한국' [남기자의 체헐리즘]
  5. 5 생활고 호소하던 김호중… 트롯 전향 4년만 '3억대 벤틀리' 뺑소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