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명 뽑던 공공 청년인턴 올해 '3.5만명'으로 대폭 늘린다

머니투데이 정진우 기자 | 2023.01.17 11:23
(서울=뉴스1) 김명섭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가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2023.1.17/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부가 올해 공공부문 청년인턴을 지난해보다 1만3000명 이상 많은 3만5000명 수준으로 뽑는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3년만에 중앙 행정기관에서도 청년인턴을 채용하는데, 올해 2000명을 시작으로 향후 4년간 총 1만 명 이상으로 늘린다.

정부는 1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청년인턴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올해 공공부문의 청년인턴 채용 및 지원 규모는 국내외 인턴을 포함 총 3만5000명 수준으로 지난해 2만2000명에서 1만3000명 이상 확대된다.

우선 각 부처 등 중앙 행정기관에서 2000명을 신규로 채용한다. 중앙 행정기관에서 청년인턴을 뽑는 건 2010년 이후 13년 만에 처음이다. 정부는 올해부터 2026년까지 채용 인원을 순차적으로 늘려 중앙행정기관 인턴을 총 1만 명 이상 채용하고 2026년 인턴 규모를 올해 대비 2배로 확대할 방침이다.

45개 중앙행정기관의 청년 인턴 채용 자격은 청년기본법상 만19세~34세 청년이며 채용 기간은 6개월이다. 인턴 지원자가 원할 경우 6개월보다 짧은 기간에서 조정할 수 있다.

이해충돌방지법에 따라 소속 고위 공직자 등의 가족 채용은 제한되며 단순 사무보조나 잡무 대신 전공과 관심직종을 고려해 실무 경험을 습득할 수 있는 분야에 투입된다.

[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가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3.01.17.
공공기관의 청년인턴 채용 규모도 지난해 1만9000명에서 올해 2만1000명으로 확대한다. 이 중 60%인 1만2000명 이상을 상반기 중으로 채용할 계획이다.

또 현재 1~4개월인 인턴 채용 기간을 6개월 이상으로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6개월을 초과하는 인건비를 경상비 절감분으로 인정하고 6개월 이상 청년인턴 실적을 경영평가에 반영하기로 했다.

아울러 정부가 예산을 지원하는 민관 협업형 청년 일 경험 사업을 확대해 민간 기업 탐방 등 단기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됐던 기존 직무체험 지원사업에 인턴형 일 경험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각 부처 및 공공기관이 추진 예정이 해외 봉사단 및 일 경험 프로그램은 지난해 2700명 수준에서 올해 4500명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기관별 산업·분야 특화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을 통해 특정 분야를 전공하거나 관심 있는 청년들이 필요한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한 총리는 "청년인턴들이 공직사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며 "인턴들이 실질적인 업무에 참여할 수 있는 조직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기관장들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젊은 대장암' 왜 급증하나 했더니…대학생들 달고 사는 '이 음료' 때문?
  2. 2 "친형과 아내가 만나는 것 같다"…이혼통보 받은 남편 '분노 사연'
  3. 3 "잠옷 같다" 혹평 토트넘 새 유니폼…손흥민이 입자 '반전'
  4. 4 땀 흘린후 "시원한 맥주 한잔" 찾더니…2030 결국 '이 병' 늘었다
  5. 5 "저런 사람인 줄 몰랐어요"…밀양 가해자와 일했던 직원들도 '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