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4명 OTT 유료가입…그중 3명은 넷플릭스 구독

머니투데이 변휘 기자 | 2022.12.27 12:00
(제니차 로이터=뉴스1) 권진영 기자 = 스마트폰 위에 넷플릭스 로고가 띄워져 있다. 22.04.19 ⓒ 로이터=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올해 국민 10명 중 4명은 돈을 내고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를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 외산업체들이 압도적 강세를 보였지만, 티빙·웨이브·쿠팡플레이 등 국내 업체들도 약진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의 '2022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올해 6~8월 전국 만 13세 이상 남녀 6708명을 방문 면접 조사한 결과다.

조사 결과, OTT 이용률은 전체 응답자의 72.0%로, 전년(69.5%) 대비 2.5%포인트(p) 증가했다. 10~30대 이용률은 모두 90%대였고, 40대(86.9%)부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이용률이 낮아졌다. 다만 50대 이용률도 70.2%에 달했고, 60대는 작년보다 10%p 늘어난 54.4%가 OTT를 이용한다고 답했다.

주로 이용하는 OTT 서비스로는 무려 66.1%의 응답자가 유튜브(유료이용자는 7.1%)를 꼽았고, 넷플릭스를 이용한다는 응답자도 31.5%에 달했다. 티빙(7.8%), 웨이브(6.1%), 쿠팡플레이(5.2%) 등 국내 OTT는 10%를 밑돌았다. 작년 조사 대비 증가 폭은 넷플릭스(7.5%p)가 가장 높았고 쿠팡플레이(4.9%p), 티빙(3.4%p), 웨이브(1.7%p), 유튜브(0.6%p) 순이었다.

정액제 또는 추가 요금을 지불하는 등 유료로 OTT를 이용한 비율은 전체 응답자의 40.0%로 전년(34.8%)보다 5.2%p 늘어났다. 주로 시청하는 방송 프로그램 유형은 오락·연예(67.2%), 드라마(49.6%), 뉴스(31.4%), 스포츠(22.9%), 시사·교양(21.8%) 순이었다.

유료방송 가입자 중에서도 20.5%는 VOD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입 유형별로는 IPTV 가입자의 유료방송 VOD 이용률이 25.8%로 위성방송(20.4%), 디지털케이블(14.7%) 대비 높았다.

TV 보유율은 95.4%로 전년 대비 소폭(0.9%p) 감소했지만, 여전히 가장 보편적인 가구매체였다. 스마트패드 보유율은 29.1%였다. TV 수상기 이용시간은 하루 평균 3시간 3분으로 꾸준히 감소했고, OTT 이용시간은 하루 평균 1시간 29분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였다.


1인 가구의 TV 보유율은 90.4%로 전체 가구(95.4%) 보다 낮게 나타났고, 특히 20대 1인 가구의 TV 보유율은 62.2%에 그쳤다.

스마트폰 보유율은 93.4%로 작년과 같았고, 스마트워치 보유율은 2020년 2.2%, 작년 4.7%에 이어 올해 8.9%로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였다. 특히 20대의 스마트워치 보유율은 21.3%로 전년 대비 10%p 증가했다. 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시간은 1시간 52분으로 조사됐다.

일상생활의 필수매체로 인식하는 비율은 스마트폰이 70.0%, TV는 27.5%로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데스크톱·노트북, 신문, 라디오 등을 필수매체로 인식하는 비율은 2% 미만이었다.

주 5일 이상 스마트폰 이용률은 90.1%였고, TV 이용률은 75.5%였다. 연령이 높을수록 TV 이용 빈도가 높았고, 70세 이상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50.7%로 다른 연령대 이용률의 절반 수준이었다.

이번 조사 보고서는 방송통계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징역 3년 이상 나올 듯…바로 합의했으면 벌금형"
  2. 2 "의대 증원 반대" 100일 넘게 보이콧 하다…'의사 철옹성'에 금갔다
  3. 3 김호중 구치소 식단 어떻길래…"군대보다 잘 나오네" 부글부글
  4. 4 반격 나선 유영재, 전관 변호사 선임…선우은숙 측 "상상도 못해"
  5. 5 유흥업소에 갇혀 성착취 당한 13세 소녀들... 2024년 서울서 벌어진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