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원가 더 깎고, 금융사도 참전…통신3사 내년이 두렵다

머니투데이 변휘 기자 | 2022.12.21 06:46

'고물가'에 통신비 깎자…과기정통부, 알뜰폰 활성화 강조
국민은행 이어 토스도 진출…1200만 가입자 초읽기

새해 알뜰폰 시장이 더 커진다. 한 푼이라도 아끼려 통신3사를 벗어나는 소비자가 늘어난 데다 정부도 고물가에 허리가 휘는 서민들을 위해 그나마 사정이 나은 통신3사에 망 임대료를 깎으라고 압박한다. 또 양질의 고객 데이터를 노리는 금융회사들이 넉넉한 자본을 바탕으로 차례로 알뜰폰 시장을 노크한다. '통신3사'의 굳건한 아성에 균열이 나는 모양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이달 초 발표한 '국내 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에 따르면, 지난 10월 알뜰폰(LTE) 가입자는 1125만명으로 작년 12월(894만명) 대비 231만명 늘어났다. 10개월 만에 증가율은 25.8%에 달한다. 이 같은 추세라면 내년 상반기 1200만명 돌파는 확실시된다.

알뜰폰의 주력 기술방식은 LTE(4G)로 통신3사의 5G 대비 낡았다. SK텔레콤의 휴대폰 기준 5G 가입자 비중은 53%, KT는 57%, LG유플러스는 50%로 일제히 절반을 넘어섰다. 하지만 5G는 계속되는 품질 논란에 더해 특화된 콘텐츠도 없다는 지적에 시달린다. 반면 월 2만~3만원대의 LTE 요금제를 앞세운 알뜰폰은 '가성비'에서 월등하다. 5G에서 LTE로의 '다운그레이드'가 계속되는 이유다.

전기·가스 요금마저 오르는 고물가 시대에 가계통신비라도 깎아 여론을 달래야 할 정부로서는 알뜰폰의 선전을 응원해야 할 처지다. 알뜰폰 사업자(MVNO)가 통신사(MNO)에 통신망을 빌리는 (도매대가)의 인하를 압박하는 이유다. 연간 합산 4조원의 영업이익을 내는 통신3사에게 양보를 요구하는 셈이다.

지난 19일 박윤규 과기정통부 2차관은 기자간담회에서 알뜰폰 업계의 도매대가 인하 요구에 관해 "SK텔레콤과 협상을 진행 중"이라며 조만간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과의 줄다리기가 불가피하지만, 매년 협상에서 적어도 도매대가가 오르지 않았던 점을 고려하면 어떤 형태로든 '가격 인하'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더욱이 박 차관은 '알뜰폰 도매제공 의무 일몰제'에 대해서도 "연장이 필요하고 또는 더 나아가서 일몰제 없이 영업할 수 있는 방법도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도매제공 의무 일몰제는 2010년 한시 조항으로 도입됐지만, 이후 3년마다 3차례 연장됐다. 알뜰폰 업계에선 아예 일몰 조항을 없애자고 주장하고, 국회에선 여야 의원(국민의힘 김영식, 더불어민주당 김영주)이 일몰 기한을 삭제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한 상태다.

하지만 MNO로서는 이미 정책 방향에 부응해 연거푸 도매대가 인하를 받아들이고 있는 상황인데, 일몰 조항마저 사라지면 가격 협상력이 더욱 취약해질 것을 우려한다. 윤상필 KTOA(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 대외협력실장은 지난달 29일 한 토론회에서 "알뜰폰 도매대가 산정 원칙 삭제는 사실상 정부 재량권을 더욱 강화하는 조치"라고 지적했다.

금융회사의 잇따른 진출은 알뜰폰 시장을 더욱 키우는 변수다. 이미 KB국민은행의 '리브엠'이 요금 경쟁력을 앞세워 30만명에 달하고, 핀테크 유니콘 토스도 지난 7월 알뜰폰 기업 머천드코리아를 인수해 '토스모바일로' 개편한 데 이어 이르면 내년 1월 서비를 본격화 할 것으로 알려졌다.

알뜰폰의 잇단 약진에 통신사는 긴장한 표정이다. SK텔레콤은 지난 14일 온라인 전용 요금제인 '언택트 플랜'을 '다이렉트 플랜'으로 개편했다. 기존 약정 이용자가 온라인요금제에 가입해도 약정을 승계할 수 있고, 유무선 결합상품에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 약정 위약금과 TV·인터넷 등의 결합상품 부재는 통신3사 대비 알뜰폰의 최대 약점인데, 이 점을 공략한 것으로 풀이된다.

베스트 클릭

  1. 1 "말도 안 되는 휴진하게 된 이유는…" 소아흉부외과 교수 '통곡의 편지'
  2. 2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
  3. 3 신동엽, '대마초 사건' 자폭 개그에…"부끄러운 줄 모르냐" 일침
  4. 4 3시간만에 수정된 '최태원 이혼 판결문'…"파기 사유도 가능"
  5. 5 군중 앞 끔찍한 전처 살해…"안 잡힐 자신 있다" 증발 16년째[뉴스속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