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완 떠난 자리에 윤핵관 줄대기

머니투데이 박준식 기자 | 2022.12.15 09:32

[금융당국 24시]

편집자주 | [편집자주] 자유시장경제 근간인 금융과 관할 당국에 관한 이야기

BNK금융이 28일 오후 '그룹 IT센터' 준공식을 개최하고 디지털 혁신 선포식을 가졌다. (사진 왼쪽부터) 이두호 BNK캐피탈 대표, 황윤철 BNK경남은행장, 김지완 BNK금융 회장, 빈대인 BNK부산은행장, 성명환 BNK저축은행 대표, 박훈기 BNK금융 그룹 D-IT 부문장./사진제공=BNK금융그룹.

BNK금융지주 차기 회장 인선은 유고로 공석이 된 자리를 두고 18강이 벼르는 백가쟁명(百家爭鳴)의 향연장이 됐다. 될 만한 사람 소수가 은막에서 헤게모니 다툼을 하는 게 아니라 부산에 연고를 둔 금융인사라면 너나 할 것 없이 출사표를 던지고 보는 자리로 전락한 것이다.

BNK금융 회장석이 무주공산이 된 이유는 자초한 바가 크다. 1, 2, 3대 회장이 모두 불명예 퇴진하는 진기록을 세우면서 내치나 외압에 스스로 취약하다는 사실을 드러내서다. 2011년 지방은행 최초로 지주사 전환을 성공시킨 초대 회장은 후계구도를 외면하고 8년이나 장기집권하다가 금융감독원의 압박으로 자리에서 물러났다.

2대 회장은 임기도 채우지 못하고 쫓겨났다. 채용비리에 주가조작 혐의가 드러나 4년 만에 용퇴했지만 징역 2년이 확정됐다. 2017년 정권 교체 이후 취임한 3대 회장은 은행업과는 관련이 없던 당시로도 칠순이 넘었던 증권맨이었다. 뜬금없던 인물의 배경은 당시 대통령 대선캠프 경제고문으로 야권의 정신적 지주와 같은 부산상고 출신이라는데 맞춰졌다.

BNK금융은 이번에 차기 회장의 불명예를 막기 위해 내부에서 9명, 외부에서 9명을 '롱리스트(1차 예선 후보군)'로 추천받았다. 인선에서의 외압을 막고, 널리 명망가를 아울러 차석을 신중히 선정하겠다는 의지다. 하지만 내부에서 후보로 망라된 각 계열사 사장 중 사실상 유효 후보는 안감찬 부산은행장과 이두호 BNK캐피탈 대표 등 두 사람 정도로 지목된다.

내부출신을 들어올린다면 투서 문제가 나올 수 있다. 김지완 회장이 용퇴를 선언한 이유가 지난 국정감사에서 불거진 아들에 대한 몰아주기 의혹 때문이다. 사실상 전 정부에서 임명한 회장을 내부 투서와 의혹제기로 몰아내고 그를 주동한 풀에서 회장을 뽑는다면 매번 교체기마다 이런 행태는 지속될 거란 지적이다. 회장의 문제를 당대에 묵인했던 책임도 면하기 어렵다.


그렇다고 외부 명망가가 훌륭하냐면 그도 의문이다. 9명으로 지목되는 하마평에는 올드보이가 눈에 띈다. 노동조합이 낙하산 반대라고 외치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모피아(MOFIA)와 전 BNK금융 임원들 그리고 금융인 몇몇이 출사표를 냈는데 부산 경남 연고를 제외하면 신선도가 묵은지 수준이라는 조롱이 나온다.

BNK금융 안팎에선 이제 누가 정권의 입맛에 더 맞는 인물인가를 물색하는 흐름이 엿보인다. 그런데 정권의 정점보다는 결국 지역패권을 지닌 인물의 의중에 관심이 쏠린다. 이른바 '윤핵관(대통령 핵심 관계자)'에 아무도 모르게 줄을 댄 인물이 누구인지 찾아내는 것이다.

일각에서 BNK금융 회장은 동래구청장과 19대 20대 의원, 정무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한 이진복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의 복심에 달렸다는 관측이 나온다. 여기에 장제원 의원(사상구)과 박형준 부산시장도 적잖은 재가권을 가졌다는 억측이 제기된다. 특히 장 의원은 최근 비서관 7명 가운데 4명을 바꾸면서까지 인사청탁 등을 멀리하려 하지만 부산 사람들은 지역맹주로 여긴다.

지역에 기반을 둔 금융지주사 총수의 자리가 지역 연고에 좌우되는 것은 어찌할 수 없는 문제일 수 있다. 하지만 정권이나 정치의 전리품처럼 매번 외풍에 의해 임기와 무관하게 차기가 좌우되는 현실은 부산 경남을 위해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BNK금융은 공정성을 유지한다는 명분으로 외부 출신 후보 9명의 명단을 밝히지 않았다. 내달 숏리스트에 고개를 끄덕일 수 있는 인물들이 포함되지 않는다면 18강은 허수에 불과하다.

베스트 클릭

  1. 1 태국 보트 침몰 순간 "내리세요" 외친 한국인 알고보니…
  2. 2 경매나온 홍록기 아파트, 낙찰돼도 '0원' 남아…매매가 19억
  3. 3 "아이고 아버지! 이쑤시개 쓰면 안돼요"…치과의사의 경고
  4. 4 민희진 "뉴진스, 7년 후 아티스트 되거나 시집 가거나…"
  5. 5 "김호중, 징역 3년 이상 나올 듯…바로 합의했으면 벌금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