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아파트값 전망?…"서울 4%, 지방 5.5% 떨어진다"

머니투데이 이민하 기자 | 2022.12.12 13:42

주택산업연구원 '2023년 주택시장 전망과 정책방향' 발표...인기지역은 내년말 반등 나올 것

(서울=뉴스1) 송원영 기자 = 부동산 시장이 침체기를 겪으면서 아파트 매수심리가 꽁꽁 얼어붙고,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비중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주(74.4)보다 1.3포인트 하락한 73.1을 기록했다. 또한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12월 현재까지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량은 총 8만6천889건으로 전체 전월세 거래량(20만8천315건)의 41.7%를 차지했다. 금리 인상 여파로 전세자금대출도 어렵게 되면서 집주인은 물론 세입자까지 월세 선호 현상이 두드러진 결과다. 사진은 11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모습. 2022.12.11/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내년 서울 아파트값이 4%, 지방은 5.5%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부동산 침체 주요인이 됐던 금리 인상이 정점을 지난 내년 하반기부터는 집값 하락 폭이 둔화되고 내년 말에는 일부 인기 지역에선 반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12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주택시장 전망과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대내외 경제변수와 주택수급지수를 고려한 예측모형으로 주택가격을 전망한 결과, 내년 전국 주택 매매가는 전년 말 대비 3.5% 하락하고, 전국 아파트 매매가도 5.0%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주택값은 서울 2.5%, 수도권 3.0%, 지방 4.0%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아파트 가격은 서울 4.0%, 수도권 4.5%, 지방 5.5% 떨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김덕례 주산연 선임연구위원은 "고금리와 경기 위축, 부동산 세제 정상화 지연 등으로 집값 하락세가 지속되겠다"면서 "기준금리 인상이 정점을 지난 뒤 내년 4월 이후부터는 하락 폭이 둔화하기 시작해 내년 4분기 중에는 수도권 인기 지역부터 보합세 혹은 강보합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실거래가 기준으로는 내년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8.5%, 서울 9.5%, 수도권 13.0%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실거래가는 1~2건으로 전체 단지의 집값을 대표하지 못하지만, 가격 변화 움직임을 가장 잘 포착해 체감도와 유의성이 크다고 주산연은 설명했다.


올해 주택거래량 전년 절반 수준 54만가구 그쳐…내년 75만구 거래절벽 완화


부동산 거래절벽 상황은 내년에는 올해보다 나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주택 거래량은 전년의 절반 수준인 54만가구 수준으로, 한국부동산원 조사가 시작된 2006년 이후 최소 거래량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그러나 내년 하반기부터는 집값 급락세가 꺾이고 매수 심리가 살아나면서 거래가 회복돼 올해보다 39% 증가한 75만가구가 거래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전·월세 시장은 매매 수요가 전·월세로 전환하는 추세가 내년에도 지속되는 가운데 고금리와 전세대출 어려움에 따른 월세 선호 현상으로 전셋값은 떨어지고 월세는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내년 주택 전세는 전국 4.0%, 수도권 5.5%, 서울 3.5%, 지방 2.5% 등 모두 하락하는 반면 월세는 전국 1.3%, 수도권 1.5%, 서울 1.0%, 지방 1.2% 오를 것으로 예측됐다.


내년 주택 인허가 물량은 올해보다 30% 줄어든 38만가구 수준으로 추산된다. 착공·분양 물량은 더 줄어들 전망이다. 고금리와 집값 급락,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중단으로 내년 상반기 부도 위기에 처하는 건설업체가 급증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김 위원은 "브릿지론과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으로 지원된 자금 대환이 막히면서 건설업체의 자금난이 증폭되고 있다"며 "이런 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면 내년 상반기 중 보유현금이 부족한 건설업체부터 부도가 속출하고 하반기부터는 이들 업체에 자금을 지원한 2금융권 부실로 전이돼 경제에 2차 충격이 가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에는 단기간 금리가 급상승하고 높은 평균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PF 조달 비율로 인해 1997년 외환위기나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리스크가 훨씬 더 큰 상황이라는 지적이다. 김 위원은 "정부가 적극적으로 PF 금융 지원방안을 내놓고, 건설업체가 보유한 토지에 분양주택 대신 임대주택을 지을 수 있도록 임대주택 표준건축비 현실화와 분양전환 가격 기준 개선을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미분양 적체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아파트 등록임대사업을 복원하고, 비정상적인 주택보유·거래과세를 정상화하는 방안도 조속히 완료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무섭다" 구하라 사망 전, 비밀계정에 글+버닝썬 핵심 인물에 전화
  4. 4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5. 5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