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아진 채권 만기…캐피탈사, 잦아지는 '돈맥경화'

머니투데이 김남이 기자 | 2022.11.21 05:07

자금조달 만기가 짧아지면서 캐피탈사의 차환 부담이 커지고 있다. 6개월 이내에 18조원 규모의 캐피탈채 만기가 도래한다. 기준금리 상승 등으로 저금리 채권을 고금리로 바꿔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최근 3년 만기 캐피탈채의 금리는 7%를 넘어선 상태다. 만기가 1년으로 짧은 캐피탈채 금리와의 차이도 적어 단기물로 연명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20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1년 이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캐피탈채(할부금융채)는 39조8450억원에 이른다. 이 중 45%인 약 18조원이 6개월 내에 만기가 찾아온다.

수신 기능이 없어 자금조달 창구가 한정적인 캐피탈사는 대부분의 만기도래 채권을 차환 발행으로 보통 상환한다. 하지만 최근 금리 상승으로 차환 부담이 늘었다. 낮은 금리의 채권을 고금리 채권으로 대체해야 하는 만큼 수익성 악화도 전망된다.

만기가 6개월 남은 캐피탈채의 평균 금리는 2.27%이지만 지난 18일 발행된 1년 만기 AA-급 채권 금리는 6.728%에 이른다. 3년 만기와 5년 만기 캐피탈채의 금리는 7%를 넘어섰다. 차환하면 5%포인트 이상의 금리 부담이 늘어나는 구조다. 오는 24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도 예상돼 이자 부담은 더 커질 수 있다.

특히 최근 회사채 시장 위축되면서 캐피탈사의 단기 채권 발행이 늘고 있다는 점이다. 단기물의 금리 급등으로 여전채 1년물과 3년물의 금리 차이도 크게 줄었다. 지난 18일 기준 신용등급 AA-의 여전채 1년물과 3년물의 금리 차이가 0.076%포인트밖에 되지 않는다. 지난달 11일 0.928%포인트에서 금리차가 계속 좁혀졌다. 시장 참여자가 입장에서는 굳이 만기가 긴 3년물을 살 이유가 없는 셈이다.


이같은 금리 급등과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낮은 단기물의 수요가 맞물린 상황에서 자금 조달이 급한 캐피탈사가 만기 1년인 채권을 찍어내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서 신용등급 AA-의 캐피탈채 평균 만기는 1.59년에서 1.25년으로, A0급은 1.62년에서 1.18년으로 짧아졌다. 지난 10월초부터 발행된 캐피탈채 중 1년 만기 채권의 비중은 6.5%로 지난해보다 4.2%포인트 상승했다. 차환 부담의 주기가 더 잦아진다는 의미다.

특히 신용등급이 낮은 캐피탈사일수록 만기가 짧은 부채에 의존도가 높은 경향이 있어 어려움이 더 클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신용등급이 AA-미만인 캐피탈사는 사실상 회사채 시장에서 자금 조달이 어려워 단기 CP(기업어음) 시장의 의존도가 더 높아지고 있다.

금융당국은 단기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정책금융의 투입 속도를 높이고 있다.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풍부한 은행업권에도 적극적인 CP 와 ABCP(자산유동화기업어음) 매입을 요청한 상태다. 다만 금리상승 기조에서 자금경색이 풀리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오태록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캐피탈사 유동성 리스크 점검' 보고서에서 "캐피탈채 조달 구조가 단기화되고 있어 금리상승 국면에서 올해말과 내년 상반기에 만기가 도래할 부채의 상환과 차환부담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차환 부담 증가로 인한 유동성 위험은 조달구조가 단기적인 중소형 및 소형캐피탈사에서 더욱 두드러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베스트 클릭

  1. 1 6세 손녀와 떠난 환갑 여행, 비극 됐다…35명 태운 유람선, 7초 만에 침몰[뉴스속오늘]
  2. 2 남편 일 관두고 14년째 전업주부…의사 아내 "난 복 많은 여자"
  3. 3 강형욱 아내 미담 등장…"수억원 불탔다" 물류업체 대표에 보인 반응
  4. 4 '구속 5일째' 김호중 근황…"독방서 세끼 도시락, 잠만 잔다"
  5. 5 "자도 자도 피곤해" 머리 아파 병원 갔더니…뜻밖의 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