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밀어, 밀어" 이태원 압사놀이…위험천만 10대들

머니투데이 이영민 기자 | 2022.11.17 09:16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태원 참사 이후 10대 사이에서 '압사 놀이'를 한다는 글이 공유돼 우려를 낳고 있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 등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는 이태원 참사 이후 10대 학생들이 서로 밀거나 깔아뭉개는 행동을 '놀이'처럼 한다는 글들이 이어지고 있다.

한 누리꾼은 학생들이 과거 '햄버거 놀이'로 불린 놀이를 한다는 글을 올렸다. 이에 다른 누리꾼들도 "우리 학교는 (이태원 놀이라는 말을) 드립으로 한다" "우리도 그렇다"고 공감했다. "놀이 중에 맨 밑에 깔렸던 학생이 기절해 응급실에 갔다"는 주장도 나왔다.

햄버거 놀이는 여러 사람이 햄버거 재료처럼 층층이 몸을 쌓는 것으로, 아래 깔리거나 사이에 낀 사람은 압박을 받게 된다.

10대들이 많이 이용하는 한 동영상 플랫폼에는 "저희 반 애들 미친 것 같다. 쉬는 시간에 '이태원 놀이'했다. 막 서로 밀치고 '꺅! 살려주세요' 이러고 미친 것 같다"는 글이 올라왔다.


또 다른 누리꾼은 "우리 학교에서만 이태원 압사 놀이하는 거냐. 이거 보고 너무 충격받고 이태원 드립 치는 거 보고 한 번 더 충격받았다. 다들 왜 이러는 거냐"고 토로했다.

다른 누리꾼들도 "우리 반 얘기다" "남자애들이 화장실 줄이 기니까 '야 밀어 밀어' 이렇게 장난식으로 해서 담임 선생님이 알고서 혼냈다" "애들이 '이태원 압사 사건이다'라면서 깔아서 뭉갠다" "오늘 우리 학교 애들이 했는데 남자 한 명이 등이 아프고 숨이 안 나온다더라" 등 댓글로 공감했다.

전문가들은 SNS를 중심으로 참사 영상이 무분별하게 퍼지면서 모방 심리가 큰 10대 학생들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유튜브 등 동영상 플랫폼에서는 참사 당일 영상 등 관련 콘텐츠를 삭제하거나 연령제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전국미디어리터러시교사협회는 '재난 상황에서 디지털 시민을 위한 미디어 이용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어린이들이 직접 볼 수 있는 곳에 충격적인 장면을 공유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베스트 클릭

  1. 1 23억 갚으면 '10억 빚' 또…"더는 못 갚아줘" 박세리, 이유 있었다
  2. 2 "이게 살짝 난 상처인가요?" 아들 얼굴 본 아버지 '분통'
  3. 3 산소마스크 내려오고 승객들 코피 쏟고…대만행 대한항공편 긴급 회항
  4. 4 '처형 강제추행' 혐의 유영재, 검찰 송치…선우은숙 측 녹취록 인정
  5. 5 절반이나 남아 생산라인 세웠다…재고 쌓인 전기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