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보세]안전사고의 후폭풍

머니투데이 김은령 기자 | 2022.11.04 05:24
이태원 참사 이후 온 사회가 애도 분위기다. 연말 성수기를 앞둔 유통가는 행사를 취소하고 마케팅을 최소한으로 축소하는 등 움츠리고 있다. 집객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쳐 온 유통가이지만 올 연말은 예년보다 조용하게 보내게 될 것 같다.

유통가도 그 동안 이런 저런 대형 안전사고가 잇따른 뒤라 상황이 좋지 않다. 지난달 대전 현대아울렛 화재에 이어 SPC 계열사 제빵공장 근로자 사망 사고가 터졌다. 작업 과정에서 안전장치나 사고 후 대처 등이 미흡했다고 알려진 SPC는 여론의 뭇매를 맞기도 했다. 특히 B2C기업의 성격상 소비자들은 불매운동 등으로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런 사례에서 소비자들이 더 이상 제품 자체만을 보고 제품을 사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치 소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최근 소비 트렌드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까지 선택의 기준으로 삼는 것이다. 기업들은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을 강화하며 임직원들의 안전관리도 강조하고 있다. 더 이상 효율을 위해 안전을 외면할 수 없어졌다. 건설 산업현장에서나 볼 수 있었던 EHS(Environment, Health and Safety·환경안전) 경영이 B2C(기업소비자간거래) 업계에서도 확산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지난 1월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것도 이 흐름에 영향을 준 요인 중 하나다. 중대재해법 시행을 앞두고 대형 유통사들은 각 사업장에 안전관리 조직을 구성하고 관련 경영방침을 수립하는 등 관리를 강화해 왔다. 롯데쇼핑의 경우 지난해 안전관리 조직을 팀에서 대표 직속 부문으로 격상하고 올해 관련 예산을 10% 이상 증액했다. 이마트도 '52주 안전·보건 관리 로드맵'을 운영하며 선제적인 안전사고 예방에 주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현장에서는 크고 작은 사고들이 일어난다. 후속 대처와 사고 예방 등의 재발 방치 대책이 중요한 까닭이다. 대전 아울렛 화재 때도 대부분의 유통업체들이 각 지점별로 취약 부문, 화재 대응 등의 점검을 강화하는 등 분주하게 나섰다.


몇 차례 곤혹을 치른 쿠팡은 매년 안전관리자를 늘리고 안전 전문가를 대표로 선임하는 등 일찌감치 투자를 늘리고 있다. 직원 안전·건강관리 전담 인력을 600명 이상 두고 있고 2020년 이후 근로자 안전에 투자한 금액만 2500억원이 넘는다. 지난 9월 환경보건안전 전문가인 라이언브라운을 CFS(쿠팡풀필먼트서비스) 대표로 선임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코로나19 발생 직후에는 전담 대응 인력을 최대 2400명 운영하기도 했다.

SPC그룹은 사고 직후 3년간 1000억원을 투입해 안전관리 강화에 나서겠다고 밝혔고 현대백화점도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렛 화재와 관련해 원인 등에 대한 조사가 끝나면 상세한 내용을 공개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다 이태원 참사로 안전 관리와 사고 예방에 대한 경각심은 더욱 높아졌다. '안전과 타협하지 않는다' '임직원의 안전을 최우선시 한다'. 한 유통업체의 안전 경영 방침의 일부다. 기업의 안전 관리는 이런 과정을 거쳐 필수가 되고 있다. 기본 중의 기본이 안전인데도 말이다.

베스트 클릭

  1. 1 "번개탄 검색"…'선우은숙과 이혼' 유영재, 정신병원 긴급 입원
  2. 2 유영재 정신병원 입원에 선우은숙 '황당'…"법적 절차 그대로 진행"
  3. 3 법원장을 변호사로…조형기, 사체유기에도 '집행유예 감형' 비결
  4. 4 "통장 사진 보내라 해서 보냈는데" 첫출근 전에 잘린 직원…왜?
  5. 5 '개저씨' 취급 방시혁 덕에... 민희진 최소 700억 돈방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