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7월처럼 6%대까진 안 간다"...정부, 자신하는 이유는?

머니투데이 세종=유선일 기자 | 2022.11.02 17:28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10월 소비자물가가 5.7% 오른 것으로 나타난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농협 하나로마트 양재점을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9.21(2020=100)로 1년 전보다 5.7% 오르며 석 달 연속 5%대 상승률을 보였다. 2022.11.02.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시 오름폭을 키우며 석 달째 5% 이상을 기록했지만 정부는 물가가 지난 7월 정점(6.3%)을 이미 찍었다며 다시 6%대로 뛸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봤다. 국제 유가·곡물가격 등의 변동을 예측하긴 어렵지만 높은 수준의 기준금리, 지난해 말 고물가에 따른 기저효과 등을 고려하면 물가 상승폭이 더 커지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7월 6.3%까지 뛰었던 전년동월대비 소비자물가상승률은 8월 5.7%, 9월 5.6%, 10월 5.7%를 보이며 3개월째 5%대를 기록했다.

당초 기획재정부는 물가상승률이 10월 정점을 찍고 11월부터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최근 농산물 수급 여건 개선, 석유류 가격 하락세 영향으로 지난달에도 물가상승률이 5%대를 기록하며 물가 정점 시기를 7월로 조정했다. 기재부는 2일 배포한 '10월 소비자물가동향 보도참고자료'에서 "앞으로 물가상승세는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물가상승세 둔화를 전망하는 주요 요인으로 '높은 수준의 기준금리'와 '기저효과'를 꼽았다.

우선 기재부는 현재 3%인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추가 물가상승을 억제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분석했다. 한은은 지난해 8월부터 기준금리를 꾸준히 인상해왔으며 올해는 두 차례(7월, 10월) 빅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밟기도 했다. 시장은 한은이 오는 24일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추가로 기준금리를 인상해 연말 기준금리가 3.25~3.5%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일(현지시간)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를 거쳐 4연속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밟을 경우 한은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압력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기재부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고물가 현상이 본격화돼 상대적으로 올해 물가상승폭이 줄어드는 기저효과도 예상하고 있다. 지난해 전년동월대비 물가상승률은 10월 처음 3%대(3.2%)대로 올라섰고 11월 3.8%, 12월 3.7%를 기록했다.


일각에선 지난달 29일 발생한 이태원 압사 참사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도 물가상승을 일부 억제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사고는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와 비견되는데, 세월호 참사 발생 시점이 속한 2014년 2분기 민간소비는 전분기 대비 0.2% 감소했다.

다만 기재부는 물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원/달러 환율, 원유·원자재 가격, 곡물가격 등은 향후 어떻게 변할지 예측이 어렵다고 밝혔다. 통계청도 향후 물가상승률이 다시 6%대로 뛸 가능성이 낮다고 보면서도 이는 기름값 등이 최근의 안정세를 이어가는 것을 전제로 했을 때의 전망이라고 밝혔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2일 '10월 소비자물가동향' 브리핑에서 "(물가상승률이 향후) 6%대로 올라갈 것으로 기대되지 않기 때문에 7월이 정점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어 심의관은 "최근 석유류와 농축수산물 가격의 오름세가 둔화하는 추세"라며 "(7월 정점 가능성은) 이런 흐름의 유지를 전제로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기재부는 "물가가 상당 기간 높은 수준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며 "김장철 채소류 수요 확대, 환율·원자재가격 변동성 확대 등 대내외 리스크도 여전히 남아있다"고 밝혔다. 이어 "먹거리 중심으로 물가 상방 압력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김장 재료 수급관리와 농수산물 불안품목 가격 안정화, 가공식품 가격인상 최소화 등 장바구니 물가안정에 정책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했다.

베스트 클릭

  1. 1 연봉 10억, 100억 집…'지연과 이혼' 황재균, 재산분할 규모는
  2. 2 33평보다 비싼 24평…같은 아파트 단지인데 가격 역전된 이유
  3. 3 "명장 모셔놓고 칼질 셔틀만" 흑백요리사, '명장·명인' 폄하 논란
  4. 4 김장훈, '200억' 기부 아쉬워한 이유 "그렇게 벌었는데…"
  5. 5 "국민 세금으로 '불륜 공무원 커플' 해외여행" 전남도청에 무슨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