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디지털금융과 글로벌 서울

머니투데이 구본희 서울투자청 대표 | 2022.11.03 05:50
/사진제공=서울투자청
대부분의 유통플랫폼에서 새벽배송서비스를 할 수 밖에 없듯이 소비자들은 언제나 빠르고 편리한 혁신적인 서비스를 추구한다. 하지만 최근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는 플랫폼의 화재사건에서 보듯이 보안과 신뢰가 담보되지 않는 서비스는 자칫 시민 생활에 많은 불편을 끼치기도 한다.

그래서 자본주의의 핵심인 금융은 변화에 보수적인 편이 오히려 믿음직스러운 이미지였다. 그러나 코로나19(COVID-19) 팬데믹과 인공지능, 클라우드 등 기술발전은 우리 삶을 깊숙이 바꾸고 있는 중이다. 그토록 보수적인 금융서비스도 디지털환경 변화로 가능해진 보안환경의 발전과 리스크관리 강화에 힘입어 차세대 디지털금융으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자산의 확대, 금융권 메타버스 활용, 간편송금·결제시장의 폭발적 증가 등 디지털금융은 거침없이 발전하고 있다. KPMG 인터내셔널(KPMG International)에 따르면 작년 글로벌 핀테크 투자는 2101억달러로 전년 대비 68% 증가했다. 은행 등 금융사뿐만 아니라 페이팔 같은 핀테크기업 및 애플과 같은 빅테크기업들도 디지털금융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물론 법제도가 아직 미흡하고, 거래안정성 확보, 금융-비금융간 융합을 위한 규제완화가 선결조건이지만 디지털금융은 글로벌 경제중심지가 되기 위한 필수 산업이 돼가고 있다.

서울은 글로벌 5대 금융도시를 표방하며 금융 중심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여의도 금융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서울핀테크랩, 서울국제금융오피스 등을 운영하고 있지만 여전히 부족하다. 좁은 국내 시장을 둘러싼 국내 기업의 성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디지털금융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글로벌 기업들이 서울로 들어와야 한다.

90%가 넘는 5G 보급율, 세계 4위의 정보보호환경, 860여개의 금융사와 273개의 핀테크기업, 그리고 성인의 97%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거대한 사용자시장이 세계적인 '디지털금융 테스트베드(시험장)'로서 서울을 매력적으로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그 결과, 서울의 국제금융센터지수는 2019년 33위에서 지난해 11위로 무려 22단계 상승했다.


하지만 시야를 외부로 돌려보면 현실은 녹록치 않다. 싱가포르, 홍콩, 도쿄 등 아시아 금융거점을 자처하는 경쟁도시들은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싱가포르는 승인받은 금융기업에는 8% 수준의 낮은 법인세율을 부과하고 있고, 싱가포르 소재 은행과의 거래는 원천징수세를 면제하고 있다. 홍콩, 상하이, 도쿄 등은 해외 고급인력 유입을 위해 취업비자 완화 등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 반면 한국은 특별한 유인책도 없으며 해외 고급 인력 유치노력도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보다 적극적이고 과감한 지원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서울시가 발표한 용산국제업무지구 조성계획, 여의도 금융특구를 포함한 금융산업 투자계획이 얼마나 발 빠르게 진행되는가 그리고 글로벌 자본과 기업을 끌어들이기 위한 투자 및 정주환경을 어떻게 만들어 가는가가 '서울의 내일'을 결정할 것이다.

다행히 서울의 미래는 밝은 편이다. 서울은 '미래부상 가능성'이 높은 도시 1위로 선정됐다. 향후 2~3년 내에 크게 발전할 잠재력을 갖춘 도시로 손꼽히고 있다. 하지만, 잠재력을 실현시킬 구체적 수단이 없다면 이는 허상일 뿐이다. 법인세율 인하, 현금인센티브 확대, 비즈니스친화적 환경조성 등 실질적 혁신만이 서울을 글로벌 도시로 만들 것이다.

베스트 클릭

  1. 1 강형욱, 여직원 옷 갈아 입던 사무실에 CCTV…항의에도 적반하장
  2. 2 "강형욱, 안락사 언급에 견주 오열하는데 노래 불러" 이경규 폭로 재조명
  3. 3 "이승기가 해결할 것" 임영규, 싱글맘에 2억 뜯어낸 뒤 사위 팔이
  4. 4 쇼트트랙 김동성, 포크레인에서 식사라니…건설현장 '포착'
  5. 5 [단독]강형욱, 훈련장·회사 부동산 전부 매물로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