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학자 잭 홀 박사는 남극을 탐사하던 중 지구 이상을 감지한다. 그는 지구 온난화로 남·북극 빙하가 녹아 바닷물이 차가워지면, 해류의 흐름이 변한다고 가설을 세웠다. 결국 해류의 흐름이 바뀌어 지구 전체가 빙하로 뒤덮여 '재앙'을 맞는다고 봤다. (영화 투모로우 줄거리)
영화는 영화일 뿐이었다. 국내 연구진이 '지구 온난화로 인류에 빙하기가 찾아온다'는 가설이 틀렸다는 사실을 최초 규명했다. 지난 30년간 북극 노르딕해의 염분 변화를 추적해 밝혀낸 연구 결과다.
19일 극지연구소는 지구 온난화로 늘어난 담수(염분이 없는 물)로 인해 '바다의 순환 속도를 늦추거나 멈출 만한 힘'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관련 연구 결과는 최근 국제학술지 '프론티어스 해양과학'에 게재됐다.
바다는 하나의 거대한 컨베이어 벨트처럼 순환하며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에너지'를 보낸다. 순환의 출발점은 극지 바다로, 차가운 극지 표층의 바닷물이 가라앉아 순환을 일으키는 원리다. 바닷물이 차가워지거나 염분이 높아지면 바닷물의 밀도는 오른다.
하지만 일부에선 지구 온난화가 생기면 이와 반대되는 현상이 일어난다고 알려졌다. 지구가 더워지면서 바닷물이 뜨거워지고, 빙하가 녹아 바다로 유입되는 담수가 늘어난다는 근거였다. 결국 표층의 밀도가 낮아져 해양 순환이 멈춘다는 것이다.
극지연 연구팀은 이런 이론이 대양에선 그대로 나타나진 않는다고 파악했다. 인공위성 관측 자료와 현장 탐사 자료를 활용한 연구다. 특히 1991년부터 2019년까지 그린란드와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사이에 위치한 한반도 면적 12배 크기 (258만8000㎢)의 바다, 북극 노르딕해 염분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노르딕해로 유입된 담수는 다른 바다로 빠져나갔고 이는 바다의 전체 염도를 떨어뜨리고 순환 속도를 바꿀 정도로 강력하지 않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기존 '염분이 낮아져 바닷물 밀도가 낮아져 해양 순환이 멈춘다'는 가설은 일치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또 시간이 지날수록 염분이 낮아지는 등의 특정 경향성은 나타나지는 않았다.
다만 그린란드와 인접한 해역에선 염분 변화가 생겨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전망이다. 김현철 극지연 박사도 "이번 연구 결과를 근거로 지구 온난화가 해양 대순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면서도 "앞으로도 계속해서 지구 온난화가 가속되면, 지금과 다른 양상도 나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